젊은 교사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경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한국경제인협회가 20~30대 초·중·고등학교 교사 1천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1일~12월 24일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1%가 학교에서 학생 대상 경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가 15%, '이뤄지지 않는다'가 36%였다.
경제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는 답변율은 14%에 그쳤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84%가 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과 달리 과반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경제 관련 교육이 부실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교사 자신도 경제 교육을 학교나 교사 직무연수에서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9%와 8%에 그쳤다. 가장 많은 44%가 'TV, 라디오, 서적, 신문, 잡지'에서 경제 교육을 받았다고 했다.
교사들은 학교 경제 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이론 중심으로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28%)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입시 교육 위주로 경제 교육 소홀' 27% ▷'경제교육 자료 부족' 18% ▷'경제 전담교사 부족' 17% 순이었다.
학교 경제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32%),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30%), '현장 체험학습 기회 확대'(18%)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교총 관계자는 "교사가 피부에 와닿는 경제교육을 충분히 접하고 이해해야 올바른 경제생활 영위는 물론 학교 경제교육도 변할 수 있다"며 "더 유익하고 체험적인 경제 연수와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