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에 공정한 결론을 촉구하면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도 올바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일 김 장관은 국회에서 열린 노동개혁 토론회에 참석한 뒤 취재진을 만나 "헌법재판관 선임 과정, 재판 진행 절차에 많은 우려를 가진 국민이 있고, 한편으로는 헌재가 속도를 내서 빨리 판결을 내달라는 분도 있고, 국론이 그야말로 양분된 상태"라며 "공정하게,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절차 진행과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2017년 헌재의 박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 "과연 올바른 판결이었나. 박 전 대통령이 무슨 큰 잘못을 했나"라며 "헌재가 직선제로 뽑힌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사랑과 충성을 너무 가볍게 본다"고 지적했다.
김 장관은 부정선거 주장에 대해서는 "중앙선관위가 이것을 가릴 행정적 책임이 있다"며 "(사전투표함 보관 장소에) CCTV가 없었다,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건 정당한 의문"이라고 말했다.
본인이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범보수 1위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우리 사회가 너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대한민국을 매우 불행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돼 (지지율이) 높게 나오는 것 같은데 너무 무겁고 가슴 아프다"라고 말했다.
중도 확장성이 떨어지는 후보라는 평가에는 "7년 이상을 공장에서 일하고, 민주화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두 번이나 감옥을 갔다"며 "소외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는 것이 정치의 본령 아닌가. 전 사회적 약자를 보살피는 게 공직자의 첫 번째 직분임을 잊지 않고 살아왔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좌든, 우든 (그런 생각은) 바뀐 적이 없다"며 "비판받아야 한다면 비판받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의 정치 복귀 시사에 대해 "한 전 대표도 훌륭한 점이 많다"라며 "나이가 되고 자격이 있는 분들은 어떤 분이든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김 장관은 청년 일자리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법 개정을 통한 일률적 정년 연장은 청년 취업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대기업의 경우 정년 연장으로 청년 고용이 약 11.6% 감소했다는 한국노동연구원 연구 결과를 언급하며 "임금 체계 개편 없는 정년 연장은 기업의 재정 부담을 가중한다. 정년 연장 논의는 임금체계 개편과 반드시 연동돼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