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넘는 한국인이 하루 2시간가량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2월 25일 기준 구글이 모회사인 유튜브의 총 사용시간은 6,965만6,607시간으로 전체 앱 가운데 가장 길었다.
일일 활성 이용자수(DAU)는 2,998만8,308명,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은 139.37분으로 집계됐다.
특히 2월 들어 유튜브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이 140분 이하인 날은 25일을 포함해 3일(139.18분), 7일(139.2분), 21일(139.43분) 등 나흘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일 평균 이용시간이 2시간을 넘어섰다.
2일(153.13분), 9일(153.17분), 16일(151.15분), 23일(152.12분) 등 매 일요일은 평균 이용시간이 150분을 모조리 넘겼다.
사실상 한국인 5명중 3명꼴로 하루 2시간 넘게 '숏폼'을 비롯한 유튜브 콘텐츠를 소비 중인 셈이다.
역시 짧은 동영상 콘텐츠인 '릴스'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타그램 역시 1인당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50분에 달했다.
가장 최근 취합치인 지난달 25일 기준으로는 일일 활성 이용자 1,340만3,858명, 1인당 평균 사용 시간 50.58분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산앱 네이버와 카카오톡에 대한 사용자들의 체류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날 기준 카카오톡의 일일 활성 이용자는 3,716만4,806명, 평균 사용 시간은 30.12분이었다. 네이버는 일일 활성 이용자 2,651만141명, 평균 사용 시간은 25.4분으로 나타났다. '네카오'를 합쳐야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채 한 시간이 안 되는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배현진 "'이재명 피자'→'피의자'로 잘못 읽어…내로남불에 소름"
李대통령 '냉부해' 댓글 3만개…"실시간 댓글 없어져" 네티즌 뿔났다?
나경원 "경기지사 불출마", 김병주 "정치 무뢰배, 빠루로 흰 못뽑아내듯…"저격
金총리, 李냉부해 출연에 "대통령 1인다역 필연적…시비 안타까워"
'이재명 피자' 맛본 李대통령 부부…"이게 왜 맛있지?" "독자상품으로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