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0%에서 1.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하락폭으로 글로벌 둔화 흐름 속에서도 한국 경제가 특히 부진할 것이라는 경고다.
IMF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4월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0%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전망보다 1.0%포인트(p) 낮은 수치다. 주요 선진국 중 가장 큰 폭의 하향 조정이다.
게다가 이러한 수치는 0%대로 전망한 일부 민간 투자은행(IB)을 제외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전후해 국내외 주요 기관이 제시한 전망치 중 최저치다. 앞서 정부(1.8%), 한국은행(1.5%), 한국개발연구원(KDI·1.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은 모두 1%대 중반 수준의 전망치를 제시했다.
이번 전망에서 IMF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기준 전망'과 '보완 전망'을 함께 제시했다. 국가의 성장률은 기준 전망에 포함됐다. 4일을 기준점으로 한 기준 전망에서 IMF는 무역긴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해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내렸다.
기준 전망을 보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8%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보다 0.5%p 낮은 수치다. 선진국의 성장률은 1.4%(-0.5%p)로 조정됐으며, 미국(1.8%)은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1월 전망대비 0.9%p 내려갔다.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대부분 유럽 국가와 일본(0.6%)도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중국도 무역 긴장과 관세 여파로 4.0%(-0.6%p)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고 있다"며 "특히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성 확대가 소비·투자 위축으로 이어지고, 고금리와 높은 국가부채가 재정·통화정책 여력을 제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미국의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될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IMF는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무분별한 산업 보조금을 지양하고,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를 통한 무역 분절화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여 국가별 금융·외환시장 성숙도에 맞는 적절한 개입 및 건전성 조치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면서 중기 성장 잠재력 회복을 위해 여성·고령층 노동력 활용, 인공지능(AI)·디지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