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일부 후퇴하면서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백악관은 외국산 부품을 활용해 미국 내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포고문을 29일(현지시각)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3일부터 예정됐던 자동차 부품 25% 관세는 단계적으로 감면되며 완성차 가격의 첫 해 3.75%, 다음 해 2.75%까지 환급이 가능하다.
이번 조치는 미국 자동차업계의 반발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자동차혁신연합(AAI),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은 관세로 인한 공급망 혼란과 고용 불안을 우려하며 철폐를 촉구하는 공동 서한을 미국 재무부 등에 제출한 바 있다.
자동차 부품의 경우 북미 3국(미국·멕시코·캐나다) 간 공급망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국경 통과마다 반복적으로 부과되는 관세는 제조사 부담을 가중시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누적 관세 구조는 오히려 리쇼어링을 방해하고 소비자 가격만 높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 부품업계는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부품 수출은 82억2천2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며 대미 수출 비중은 36.5%에 달한다. 특히 미중 무역갈등 속 중국산을 대체할 가능성도 부각된다. 중국 부품에 60% 이상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한국산이 대체 수입처로 부상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려던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와 달리 현지 반발이 커지자 외국산 자동차에 부과된 25%의 자동차 관세를 철회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향후 협상에서 한국은 중국과의 대체 관계, 미국과의 보완 관계를 논리로 삼아 관세 면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