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요금 연체가 알려준 '위기 신호'… 대구시, 복지 사각지대 조기 발굴 성과

전기·가스·수도 연체정보로 3,500여 가구 찾아내

생활 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발굴 체계. 대구시 제공
생활 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발굴 체계. 대구시 제공

전기·가스·수도 요금의 연체 정보를 '위기 신호'로 읽어내는 대구시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성과를 내고 있다. 기존처럼 민원 접수나 현장 신고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기 가구를 신속히 찾아내는 선제적 조사체계를 갖춘 결과다.

1일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3월까지 3천532가구에 달하는 위기 가구가 발견됐다. 위기 가구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 채 위기를 겪는 경우가 많다. 대구시는 전기, 가스, 수도 요금 연체정보를 분석해 복지위기 신호를 감지하고 위험 징후가 포착된 가구는 해당하는 행정복지센터에 알리고 있다.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견한 대구시는 데이터 기반 행정의 성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대구시는 행정안전부의 '데이터 기반 행정 실태 점검'에서 2023년과 지난해 모두 '우수 등급'을 받았다. 복지를 포함한 안전, 환경, 교통,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데이터 기반 행정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는 '상수도 데이터 기반 소화전 사용 시스템 구축' 과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행정안전부의 공공 빅데이터 분석사업에 선정되며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류동현 대구시 ABB산업과장은 "대구시는 데이터를 중심에 두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활용해 사각지대 없는 따뜻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