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대선 후보들이 저마다 '경제 대통령'을 강조하며 경기침체에 시름하는 표심을 자극하고 나섰다. 12일 공개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등 대선 후보 3인방의 10대 공약에는 경제 분야 정책이 대거 반영됐다.
대통령 탄핵으로 초래된 조기 대선 국면이지만 진영별 이념 논쟁보다 민생·경제를 앞세워 중도·무당층에 구애하는 맥락으로 풀이된다. 다만 대구경북(TK)민에 와닿는 지역 밀착형 공약은 아직 제시되지 않아 추후를 기약하게 됐다.
이날 이재명 후보는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을 만들겠다'는 각오를 정책 1순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이재명 후보는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을 집중 육성해 새로운 성장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AI 예산 증액·민간 투자 100조 원 시대 개막 ▷AI 데이터센터 건설 ▷고성능 GPU 5만 개 이상 확보 ▷AI 인재 양성 교육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K컬처와 K콘텐츠, K방산, K푸드를 비롯해 국가첨단전략산업, 벤처·스타트업 등 분야 육성 의지도 분명히 했다.
코로나19 대응 정책자금 대출에 대한 채무조정,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 발행 규모 확대 등을 통한 가계·소상공인 경제 살리기에도 나서기로 했다.
김문수 후보 역시 '자유 주도 성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1순위 공약으로 채택하고 경제 살리기에 힘을 쏟을 각오다. 이를 위해 법인세 및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등 세제 정비, 노사합의를 기반으로 한 주 52시간제 근로시간 개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업투자 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 '원스톱'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종 기업투자 인센티브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AI·에너지 3대 강국 도약'도 2순위 공약으로 자리했다. 김 후보는 ▷AI 청년 인재 20만 명 양성 ▷AI 유니콘 기업 지원 ▷AI 융합센터 구축 ▷AI 산업 필수인프라 전력 안정적 확보 등을 공약의 이행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준석 후보는 해외 생산시설을 국내로 이전하는 리쇼어링 기업 지원을 위한 규제 완화를 1번 경제 공약으로 채택했다. 외국인 노동자 최저임금 차등 적용, 지역별 최저임금제 도입과 같은 경제 활성화 공약도 내세웠다. 법인세 역시 자치권을 부여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끌어내겠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이날 공식선거운동 첫날 일정을 소화한 이재명 후보는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대한민국을 세계 5대 강국으로 만드는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서울 가락시장을 다녀온 김문수 후보 역시 "경제를 살리는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여수산단에서 첫 유세를 시작한 이준석 후보는 "글로벌 통상무역 전쟁에서, 중국이나 미국과의 과학기술 패권경쟁에서 압도적 승리를 이끌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무성 단식 중단…"후보 교체 비민주적, 동의 못해"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한덕수 전 총리, 국민의힘 전격 입당…"대한민국 기적 끝나선 안 돼"
김문수 "야밤에 정치 쿠데타…법적조치 즉시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