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29·30일 사전투표, 유권자는 현명한 선택·선관위는 철저한 관리

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29·30일 실시된다. 사전투표를 하루 앞두고 있지만, 선거판은 요동(搖動)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내란 심판"과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독재 저지"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한 가운데, 3강 후보들의 지지율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혼돈스러운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유권자들의 냉철한 판단과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사전투표에 처음으로 투표소별 매시간 투표자 수를 공개하고, 투개표 사무원 및 투표 관리관 전원(26만여 명)을 한국 국적자(國籍者)로 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대선에서 처음으로 선거 사무 전 과정을 현장에서 지켜보는 '공정선거참관단'을 운영한다. 이는 선관위가 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제기된 '사전투표의 철저한 관리·감독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사전투표에서 조직적인 부정(不正)이 있다는 일부의 주장과 20대 대선 사전투표에서 '소쿠리 투표'(기표된 용지를 소쿠리에 보관) 논란 등이 제기됐지만, 사전투표는 본투표에 버금갈 정도로 비중이 커졌다. 19대 대선(2017년) 때 26.06%였던 사전투표율은 20대 대선(2022년)에선 36.93%(본투표율 40.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2대 총선(2024년)의 경우 사전투표율(31.3%)이 본투표율(35.7%)에 근접(近接)했다. 20대 대선 당시 양강 후보들은 물론 주요 정치인들도 사전투표를 했다.

사전투표는 선거일에 투표할 수 없는 유권자의 참정권(參政權)을 보장하고, 선거 당일 투표소의 혼잡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보수·장년층에서 사전투표를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주권자의 참정권을 스스로 제한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재명 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등과 주요 정당들은 "걱정 말고 사전투표에 참여해 달라"며 호소하고 있다. 나라의 경제와 안보가 위기 상황이다. 민생(民生)을 안정시키고 국민 통합을 이끌어 낼 지도자가 절실하다. 유권자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가 나라를 구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