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도지사가 19일 산청군 산사태 발생 직후 산청을 찾아 "신속한 수색과 주민 대피가 최우선"이라며 가용할 수 있는 공무원 소방 등 인원과 장비를 총동원해 인명 구조에 나설 것을 긴급 지시했다.
3일간 760mm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산청군에서 산사태가 발생해 현재 2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으며 소방당국은 국가 소방 동원령을 발령해 산사태로 매몰된 주민 구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산청군은 전 군민을 대상으로 긴급 대피령을 발령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사고 발생 직후 산청을 찾아 소방본부와 경찰․군 등 관계기관에 "신속한 수색과 주민 대피가 최우선"이라며 "가용한 모든 자원과 인력을 투입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박 지사는 "도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현장 대응에 한 치의 소홀함이 있어선 안 된다"며 "실종자 수색과 대피가 완료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이후 피해 복구도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전 부처가 협력해달라"고 강조했다.
지난 16일부터 19일 오후 3시까지 도내 평균 누적강우량은 266.5mm이며, 일부 지역은 500mm를 넘는 극한 호우가 기록되고 있다. 특히, 산청군 시천면은 759.0mm,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 698.0mm, 하동군 옥종면 643.0mm 등 사상 최대급 폭우가 쏟아졌다.
집중호우로 인해 도내 도로 곳곳에서 통제가 이어지고 있으며, 오후 3시 25분 기준 총 71개 노선(국도, 지방도, 면도, 농로 등)이 침수, 사면 유실, 노면 파손 등으로 통제 중이다.
대전~통영 간 고속도로는 비탈면 붕괴 우려로 긴급 복구작업이 진행 중이며, 상행선(단성IC~산청IC)은 전면 통제, 하행선은 1차로 임시 개통 상태다. 도는 우회 안내와 긴급 복구를 병행하며,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통제 구간 접근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집중호우로 인해 도내 각종 공공시설에 대한 통제가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7.19. 15:00 기준)까지 총 310개소(도로 9, 하상도로 17, 지하차도 1, 세월교 174, 둔치주차장 23, 하천변 72, 기타 14)의 시설이 통제 중이다.
침수 우려 및 산사태 위험 등으로 총 1,821세대 2,350명이 대피했으며, 이 중 1,402세대 1,757명은 귀가, 419세대 593명은 여전히 대피 중이다.
하천 범람, 제방 유실, 산사태, 농경지 침수 등으로 총 267건(공공시설* 204, 사유시설** 63)의 피해가 잠정 집계 중이다.
한편, 도는 19일 낮 12시 10분 기준으로 재난안전 비상 대응 체계를 3단계로 격상해 유지하고 있으며, 추가 피해 예방과 신속한 복구를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도민들께서는 기상정보와 통제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산사태 경보지역이나 호우 경보 지역은 긴급 대피하고, 위험지역 접근을 자제하는 등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李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검경 참여 사건 조사단 편성"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