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경북(TK)신공항 건설과 취수원 이전 등 주요 지역 현안을 '11대 핵심 과제'로 압축, 이재명 정부 5년 국정의 청사진을 그리는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에 최종안을 건의했다.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 여부에 따라 향후 5년간 대구 현안 추진에 있어 범정부적 추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대구시는 국정과제 채택을 위해 막바지 총력을 쏟고 있다.
30일 매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과 허소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은 국정기획위를 방문, 대구 11대 핵심 과제가 담긴 '대통령 지역공약 추진계획' 최종안을 건의했다.
앞서 대구시와 민주당 대구시당은 지난달 26일 대구 핵심 현안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공동협력 체계를 본격 가동한 바 있다.
11대 핵심 과제는 ▷대한민국 인공지능(AI) 로봇 수도 건설 ▷미래 모빌리티 산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조성 ▷2차전지 산업벨트 조성 ▷염색산단 이전 등 주민 숙원 해결 ▷취수원 다변화 ▷글로벌 문화예술 도시 건설 ▷TK신공항 성공 추진 ▷도시철도 순환선(5호선) 단계별 건설 ▷대구경북 교통허브 조성 ▷도심 군부대 통합 이전 등으로 압축됐다.
국정과제 확정이 임박한 만큼 대구시는 최종안 건의 이후 대통령실, 국정기획위와 협의를 거듭하며 전방위적으로 나서고 있다.
김 권한대행은 지난달 9일 새 정부와 공식 협의를 시작으로 지난 10일 이한주 국정기획위 위원장과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별위 위원장을 찾아 대구 핵심 현안의 시급성을 피력했다. 지난 24일에는 안도걸 국정기획위 기획분과 기획위원을 만나 국정과제 반영을 거듭 건의했다.
11대 과제가 새 정부 국정과제에 안착될 수 있도록 TK 정치권이 초당적 협력에 나서야 할 때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 권한대행은 지난 25일 대구시와 국민의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모든 과제 하나하나가 대구 미래를 생각하면 과감한 정책적 결단과 재정적 지원, 국회 뒷받침이 합쳐져야 실현 가능하다"며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엄중한 상황에서 지역 정치권과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홍준표 키즈'였던 배현진 "폭로·비방하는 노회한 영혼" 직격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