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박선하 도의원(기획경제위원회·국민의힘)은 25일 열린 제357회 임시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스마트물류 특구 지원, 신중년 맞춤 정책, 대경선 광역철도 2단계 조속 추진, 특수교육 불균형 해소 등 경북의 미래 전략 과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박 도의원은 "청년은 떠나고, 지역은 늙어가며, 산업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며 "이제는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도의원은 김천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실증특례 연장에도 불구하고 국비 지원 중단과 기술 컨설팅 종료로 특구 생태계가 위기에 처했다며 도 차원의 지원을 촉구했다. 그는 "김천 특구는 탄소중립과 생활 물류 혁신을 선도하는 국가 단위 프로젝트"라며 "공동협의체 구성과 실증 기술의 도내 확산, 기업 재정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경북 인구의 26.8%를 차지하는 신중년(50~60대) 세대가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 대상 사업 83개, 노인 대상 사업 23개에 비해 신중년 대상 사업은 단 3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박 도의원은 "신중년은 지역 지속가능성과 직결된 사회 구조 문제"라며 "경북형 종합전략과 도 단위 통합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도의원은 대경선 1단계(구미경산)가 하루 평균 1만 4천 명 이용, 누적 253만 명을 기록한 점을 언급하며 2단계(김천구미, 22.9km) 조속 추진을 촉구했다.
그는 "비수도권 철도사업은 경제성 지표상 불리하지만 균형발전과 정책성을 반영하면 충분히 추진 가능하다"며 전략적 대응을 주문했다.
경북 특수학교는 8곳에 1천534명이 재학 중이지만 교원 1인당 학생 수와 학급당 학생 수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돌고, 군 단위 지역은 장거리 통학이 불가피하다.
박 도의원은 "정작 가장 배려받아야 할 아이들이 매일 시·군을 넘나들며 희생을 강요당하는 현실은 제도가 만든 차별"이라며 특수학교 신설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설계 단계부터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박 도의원은 끝으로 "스마트물류 혁신, 신중년 지원, 교통복지, 특수교육 문제는 모두 경북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직결된다"며 "경북도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반드시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진짜 사장 나와라" 노란봉투법 통과에 하청노조 요구 빗발쳐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