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 피해 복구를 위해 총 1조 1,038억 원 규모의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25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이 통과되면 경남도의 올해 예산 규모는 14조 5,226억 원에 이른다.
도는 이번 추경을 통해 소상공인 지원, 내수 진작, 집중호우 피해 긴급 복구 등 민생 현안에 신속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민생경제 회복과 내수 활성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내수 활성화 예산이다. 도는 소비 촉진과 소상공인 매출 확대를 위해 9,061억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162억 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예산을 추가 반영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423억 원도 증액 편성됐다.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 예산도 확대됐다. 청년 등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K-패스)에는 42억 원, 어르신 등 교통 약자를 위한 경남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경남 K-패스)에는 45억 원이 증액 반영됐다.
▶집중호우 피해 복구 및 생활 안전 강화
지난 7월 중순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 예산도 추경에 포함됐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재난대책비 66억 원
배수개선 사업 38억 원
지방하천 둑높이기 신규 사업 6억 원
이외에도 △위험절개지 및 도로시설물 정비(21억 원) △도지정유산·전통사찰 긴급 보수(5억 원) △산사태 피해 복구(7억 원) 등이 반영됐다.
특히 산청·하동 등 하천 준설과 농가 긴급 지원이 시급한 지역에는 21억 원 규모의 예산을 예비비로 편성해 신속 집행할 예정이다.
▶"선택과 집중" 통한 재정 운용
경남도는 이번 추경을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편성했다. 도민 생활 안정과 재난 복구 등 시급한 현안에 재원을 우선 투입하는 대신, 실집행률이 낮거나 행사성·소모성 사업 예산은 과감히 줄였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추경은 도민의 생활 안정과 재난 피해 복구를 위해 불가피하고 꼭 필요한 사업에만 집중 편성했다"며 "앞으로도 국비 확보와 재정 효율화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추경예산안은 9월 9일부터 열리는 제426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에서 심의를 거쳐 9월 18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