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위원장 박순범)는 지난 25일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비상소화장치의 조속한 추가 설치와 설치·관리 체계 개선을 강하게 주문했다. 이는 화재 취약지역 안전망 강화를 위한 실천적 의정활동의 하나다.
올해 1월 경주에서는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주택 화재 현장에서 주민이 비상소화장치를 활용해 불길을 조기에 잡아내는 사례가 발생, 장치 확충 필요성에 힘이 실렸다. 비상소화장치는 소화전과 호스릴이 상시 연결돼 있어 전문 교육을 받지 않은 주민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소방차 도착 전 골든타임 확보에 큰 효과를 보인다.
제주·강원 등에서는 이미 실전 성과가 입증돼 산림인접마을이나 농촌 고령화 지역에서 '주민이 직접 불을 끄는 장비'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경북은 아직 충분치 않다. 7월 말 기준 도내 설치된 비상소화장치는 486개소에 불과하며, 이번 추경을 통해 654개소를 추가하더라도 총 1,140개소에 그쳐 강원도 등 타 지역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건설소방위는 단순 예산 편성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 있는 집행과 현장 중심의 관리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박순범 위원장은 "비상소화장치는 산림인접마을과 화재 취약마을의 실질적 생명선"이라며 "경북 전역에 보급 시 현장 점검과 데이터베이스화, 지도화를 통해 보급 누락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예산 확보와 정책 점검을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국민의힘 새 대표에 장동혁…"이재명 정권 끌어내리겠다"
'박정희 동상' 소송 본격화…시민단체 "대구시, 판결 전 자진 철거하라"
장동혁 "尹면회 약속 지킬 것"…"당 분열 몰고 가는분들엔 결단 필요"
송언석 "'文 혼밥외교' 뛰어넘는 홀대…한미정상회담, 역대급 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