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실용외교 결과는…농축산물·방위비 청구서 남았다  

李대통령, 트럼프 대통령 APEC 참석 이끌어 내며 유화적인 분위기
트럼프 '피스메이커', 李 '페이스메이커'
공동성명문 없어 통상·안보 쟁점은 여전히 숙제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며 미소짓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며 미소짓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만남이 무난히 마무리되면서 양국 간 통상·안보 쟁점에 대해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주요 쟁점의 결과에 따라 이 대통령의 '실용외교'의 성적표도 나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올해 경주 APEC 참석과 관련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내는 등 유화적인 회담 분위기를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APEC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날 가능성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만날 기회를 주겠다는 것인가"라고 되물었고, 이 대통령에게 시 주석을 만나기 위한 방중 길에 동행하겠느냐는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동시에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적극적으로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을 권유하며 "추진하겠다"는 답변을 끌어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피스메이커'에, 자신을 '페이스메이커'에 비유한 것은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과 비교해 더 현실주의적이고 실용주의적인 태도를 드러낸 지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날 정상회담으로 이 대통령이 강조해 온 국익중심 실용외교도 구호를 넘어 실질적인 성과를 낼 계기를 마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익중심 실용외교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바탕에 두되 '가치'보다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중국·러시아 등 주변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별도의 공동성명문 등이 없어 한미 정상회담의 최대 관심사였던 '통상·안보 청구서'는 언제든 들이닥칠 가능성이 높다. 앞서 미국은 통상과 관련해서는 농축산물 개방을, 안보와 관련해서는 한미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할 것이란 관측이 이어져 왔다.

실제로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농민을 위한 시장 개척"을 언급하며 "미국에서는 시장 개방을 원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농축산물 추가개방 및 주한미군 감축 관련 얘기가 오갔냐는 질문에 "아예 나오지 않았다", "그조차도 얘기가 안 될 정도로 분위기가 좋았다"고 답했다. "정상회담 중 관세협상 관련 얘기가 많이 오갔냐"는 질문에도 "구체적인 세목을 가지고 얘기하지 않았다. 분위기가 너무 좋았다"고 밝혔다.

정치권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두고 각종 우려가 컸지만 긍정적인 친분을 쌓은 것만으로도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면서도 "공동성명문 등 명시적인 결론이 없는 것은 아쉬운 지점이다. 통상·안보 쟁점에 대해 앞으로 어떤 청구서가 오냐에 따라 이번 정상회담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