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反서방' 기치 원팀 북중러…김정은·푸틴 베이징행

3일 북중러 3국 정상 첫 회동…한미일과 신냉전 구도 노골화
상하이협력기구(SCO) 톈진 선언 "反서방 결집"
김 위원장 다자무대 첫 데뷔, 위상 높아질 것

1일 톈진에서 열리고 있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안내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톈진에서 열리고 있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안내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일극 체제에 반대하는 기치를 내건 북중러 3국 동맹이 강화된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가 31일, 1일 톈진에서 개최됐고, 3일에는 베이징에서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이 열린다. 3일 열병식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합류하게 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을 위해, 1일 단둥을 거쳐 2일 베이징에 도착 후 북중러 삼각동맹 강화를 위한, 북중 및 북러 정상회담을 열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다자외교 데뷔 무대이자 6년만에 중국 방문으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어, 북한의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김 위원장은 열병식 행사가 열리는 톈안먼 광장 망루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왼쪽에 자리하게 되어, 오른에 위치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사회주의 주요 3국 정상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게 된다. 이날 3국 정상이 함께 하는 모습은 전 세계 주요 뉴스로 타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중국 전승절 기념식에서 만나게 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
3일 중국 전승절 기념식에서 만나게 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뉴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보다 바쁜 방중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지난해 5월 국빈 방문 이후 1년3개월여 만이다. CCTV는 푸틴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오전 항공편을 통해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톈진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톈진에서 열리고 있는 SCO 정상회의는 1일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그간 엇갈리는 국익 속에서 분열돼 있던 국가들이 '반(反) 트럼프' 정서를 공유하며 가까워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 관계 전문가들은 세계 질서를 흔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각종 정책 등을 계기로 SCO 회원국 간 결속력이 강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SCO는 점차 다극화하는 세계에서 미국의 예측 불가능성을 견제하는 균형추이자 신뢰할만한 파트너로 보이고자 하는 중국 캠페인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짚었다.

3일 열병식은 북중러 삼각동맹의 힘을 과시하는 자리로 활용될 것이 자명하다. 특히, 냉전 이후 처음으로 북중러 정상들이 나란히 서는 장면이 연출되면, '한미일 VS 북중러' 신냉전 구도(투 트라이앵글)는 더욱 선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신냉전 구도 속에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가 더욱 주목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