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을 계기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향후 협력 계획이 논의됐다고 북한 매체가 4일 밝혔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날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개최된 양자 회담에서 "(양국의) 전망적인 협조계획들에 대하여 상세히 토의"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두 정상은 "쌍무(양자) 관계를 계속 높은 수준에로 인도해 나가실 확고부동한 의지를 다시금 확인하시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중요 국제 및 지역문제'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틴 대통령은 양국은 "특수한 신뢰관계, 우호관계, 동맹관계"라며 쿠르스크 파병 북한군의 '용감성과 영웅성'을 높이 평가한 뒤 "전체 조선 인민에게 보내는 가장 뜨거운 인사를 전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국가주권과 영토 완정, 안전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러시아 정부와 군대, 인민의 투쟁을 전적으로 지지할 것"이라며 "그것을 형제적 의무로 간주하고 조로(북러) 국가간 조약의 이행에 변함없이 충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양측이 쿠르스크 재건 지원을 위한 병력·파견 문제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북한이 쿠르스크 지역 지뢰를 제거를 위한 공병 병력 1천명과 인프라 재건을 위한 군사 건설 인력 5천명도 북한이 추가로 파병할 계획이라고 전한 바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전 종전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군사협력으로 맺어진 북러 '혈맹 관계'가 종전 이후 어떻게 이어져 나갈지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측이 정세 전개 상황을 논의하면서 협력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방러를 거듭 초대하기도 했지만 이 사실은 북한 매체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우크라이나전 파병을 먼저 제안했다는 취지로 발언해 주목된다.
푸틴 대통령은 전날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 동지의 발기에 따라 조선 군인들이 쿠르스크주 해방전에 참전했다"고 밝혔다. 그간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이 어느 측 제안에 따른 것인지 확인된 적은 없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부원장은 "북한의 파병이 김 위원장의 선제 제안에 따른 것이었다는 점을 푸틴 대통령의 입으로 명확히 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전날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톈안먼 망루(성루)에 나란히 올라 탈냉전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노골적인 '북중러 3각 연대' 장면을 연출한 바 있다.
이후 전승절 80주년 연회를 마친 뒤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2시간 30분간 양자회담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할일 많은데 임기 4년 9개월밖에 안 남아"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