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00조 투자 약속했는데 국민이 잡혀갔다"…이인선, 이재명 대통령에 공개 사과 요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현대·LG 공장 단속 직격탄…이인선 "선물 바친 지 2주 만에 뒤통수 맞아"

국민의힘 이인선 의원. 매일신문 DB
국민의힘 이인선 의원. 매일신문 DB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대규모 이민 단속 사태와 관련해 국민의힘 이인선 국회의원이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실패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7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대통령은 자업자득 외교참사에 대해 국민께 사죄하라"고 주장하며, 최근 한미 간의 관세 협상과 대미 투자에 대한 결과를 강하게 꼬집었다.

이 의원은 글에서 "취임 82일 만에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까지 건너가 사정한 관세 협상의 결과가 고작 5,000억 달러(한화 약 700조 원)에 달하는 투자 약속이었다"며 "그 선물 보따리를 안겨준 지 2주도 안 되어 미국이 우리 근로자 수백 명을 불법체류자로 체포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에 위치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 단속 작전을 벌여 총 475명을 체포했다. 이 가운데 300명 이상이 한국 국적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는 헬기와 장갑차까지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미국 정부는 이번 조치를 사전 통보 없이 전격적으로 단행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사태에 대해 "이재명 정부의 외교 실패로 우리 국민과 기업이 뺨을 맞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웃으며 정상회담에 임했지만, 결국 미국식 방식으로 복수를 감행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정상회담장에서 웃고 돌아서서는 체포 작전을 벌인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가 협상의 냉혹함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인선 의원은 특히 "예견된 참사였다"며 집권 여당이 추진해온 특검과 관련한 정치적 압박, 그리고 미국 오산기지에 대한 압수수색 등이 미국 측의 강경한 대응을 불러왔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은 오산기지 압수수색이 국내법에 따른 정당한 절차였다고 해명했지만, 미국도 국내법에 따라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였다고 할 수 있지 않느냐"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단속은 트럼프 행정부의 두 번째 임기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현장 단속으로, 워싱턴포스트(WP)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주요 언론들도 일제히 관련 소식을 보도했다. WP는 "이번 단속은 한미 간의 관세 협상과 한국 대기업의 대미 투자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며 "양국 관계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평가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인하의 대가로 한국으로부터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약속을 받아낸 이후, 불과 몇 주 만에 단속이 벌어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WSJ은 "체포 작전은 현대차가 미국 내 판매 실적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발표한 직후 이뤄졌다"며, "한국 정부와 기업에 전혀 사전 통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이민 당국에 체포된 자국민들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영사 면담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글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며, "국회 상임위를 통해 정부의 외교 실패에 대한 책임을 철저히 묻고, 구체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정치권에서는 이번 단속이 단순한 이민 문제를 넘어 외교적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 정부는 체포된 한국 국적자들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한편, 사건의 경위를 면밀히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민 당국은 아직까지 이번 단속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구금된 한국인들에 대한 처리 방침도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위치한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에 대부분의 구금자를 수용 중이며, 이들 중 상당수가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근로자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프로젝트는 한국의 대표적 대미 투자 사례로 꼽혀왔으며, 양국 간 경제 협력의 상징으로 홍보되어 왔다.

이 의원은 글의 말미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외교의 기본"이라며, "이처럼 국민이 체포되고 수감되는 일이 벌어졌음에도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한 정부는 응당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