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고 교육 환경에서 글로벌 개발자 양성"…의성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주목'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올해 마이스터고로 전환 후 빠르게 입지 다져…국내 최고 수준 복지로 취업·수상 성과
단일학과 코스선택제로 산업 수요 반영…프로젝트 중심 수업도 눈길
전국 유일 AI 학습 환경 구축…취업률 81%, 각종 대회 수상 성과

마이스터고 전환 후 첫 신입생을 받은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는 짧은 역사에도 최고 수준의 교육 환경과 학생 복지, 맞춤형 진로 교육으로 각종 관련 대회에서 수상 성적을 올리는 등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제공.
마이스터고 전환 후 첫 신입생을 받은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는 짧은 역사에도 최고 수준의 교육 환경과 학생 복지, 맞춤형 진로 교육으로 각종 관련 대회에서 수상 성적을 올리는 등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제공.

올해 첫 신입생을 받은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이하 경북소마고)가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 환경과 학생 복지, 취업 성과로 주목받으며 빠르게 입지를 다지고 있다.

전국 5번째 소프트웨어 마이스터고로 출범한 경북소마고는 단일 학과 체제에 코스 선택제를 도입, 산업 수요에 걸맞은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입학 후 1년 동안 기본기를 다진 학생들은 2학년이 되면 ▷웹개발 ▷인공지능 ▷게임개발 등 3가지 코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각 코스별 커리큘럼은 산업 수요를 반영해 ▷웹프론트엔드·백엔드, ▷머신러닝·딥러닝 ▷XR·게임엔진 실무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실무 중심 학습을 통해 '현장에서 통하는' 역량을 키운다는 게 학교측의 설명이다.

코스별 수업도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된다. 소규모 팀이 연구 주제를 정하고 결과물을 발표하는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를 비롯해 무박 2일로 진행되는 해커톤 대회, 산업체에서 직접 근무 경험을 쌓는 인턴십 등 다양한 프로젝트로 실무 능력을 키우는 방식이다.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자 싱가포르 어학연수와 미국 실리콘밸리 탐방,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참관 기회 등도 제공된다.

전국 마이스터고 가운데 유일하게 인공지능(AI) 학습 환경을 구축한 점도 특징이다. 워크스테이션 실습실과 AI 서버, 최신 GPU 장비, 메타퀘스트3, 와콤 타블렛 등 첨단 실습 기자재를 갖췄다.

마이스터고 전환 후 첫 신입생을 받은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는 짧은 역사에도 최고 수준의 교육 환경과 학생 복지, 맞춤형 진로 교육으로 각종 관련 대회에서 수상 성적을 올리는 등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제공.
마이스터고 전환 후 첫 신입생을 받은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는 짧은 역사에도 최고 수준의 교육 환경과 학생 복지, 맞춤형 진로 교육으로 각종 관련 대회에서 수상 성적을 올리는 등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제공.

최고 수준의 학생 복지도 강점으로 꼽힌다. 입학생 전원에게는 최신형 맥북프로 노트북이 무상 지급되고, 조·석식과 교복, 온라인 학습 플랫폼 수강권, 기숙사비도 전액 지원해 경제적 부담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양한 진로에 맞춘 맞춤형 지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네이버·카카오·쿠팡 등 대기업 취업을 목표로 한 공채반과 중소기업 조기 취업을 위한 취업맞춤반, 글로벌 IT기업 진출을 겨냥한 해외 취업 프로그램, 지역인재 전산직 공무원 준비 과정 등도 운영 중이다.

이 같은 지원에 힘입어 신생 학교임에도 각종 수상 성과 등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사이버보안·클라우드컴퓨팅 분야 금·은·동메달을 수상했고, SK 스마틴앱 챌린지, 글로벌 인디게임 제작대회, 해커톤 등에서도 굵직한 수상 실적을 거뒀다.

삼성전자, 우아한형제들, 마이다스아이티 등 국내 유수 IT기업 취업이 이어지는 등 취업 성과도 냈다. 학교 측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기준 이 학교 취업률은 81.3%를 기록했다.

이창석 경북소마고 교장은 "이제 막 첫걸음을 뗀 신생 학교이지만 학생들에게는 도전의 무대이자 지역에는 혁신의 원천, 국가적으로는 소프트웨어 산업을 이끌 인재 양성소로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