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대급 폭염에 '온열질환 산재' 급증…작년 대비 3.5배 늘었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산재 승인 건수 2020년 13건에서 지난해 51건…4배 가량 폭증

지난 7월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구미 공사장 이주노동자 사망과 관련해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대구경북건설지부 노조원들이 온열질환 예방 특별 감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 7월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구미 공사장 이주노동자 사망과 관련해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대구경북건설지부 노조원들이 온열질환 예방 특별 감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매일신문 DB

기후위기로 올여름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1위를 경신하는 등 기록적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온열질환으로 쓰러진 노동자 수가 지난해 대비 3.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김위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노동자가 열사병·일사병 등 온열질환 산재를 인정받은 건수는 올해 8월까지 42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산재 인정 건수 12건에 비해 무려 3.5배나 높아진 수치다.

통상 온열질환 산재 신청은 여름이 끝난 10~11월에 몰리는 점을 고려할 때 올해 사상 최대 기록 갱신은 사실상 확정적이란 관측이 나온다.

온열질환 산재 증가세 역시 가파르다. 산재 승인 건수는 2020년 13건에서 지난해 51건으로 4배 가량 폭증했다.

이 기간동안 온열질환으로 인한 산재 사망자는 모두 17명 발생했다. 올해는 8월 기준 3명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모두 남성으로 ▷20·30대 4명 ▷40·50대 10명 ▷60대 3명 순이다.

문제는 기후위기로 매년 여름 폭염 강도가 거세지고 있어 내년에도 온열질환 산재가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울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7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체감온도 35도 이상 시 작업중단 등을 명문화했지만 이마저도 산재 대응책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김위상 의원은 "폭염 휴식권 보장과 산재 예방은 사업장 단속만으로 이뤄질 수 없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산업 구주와 근로환경 개선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