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본 車업체, 트럼프 고관세 여파에 판로 다변화 박차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미쓰비시, 브라질 통해 남미 수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동차에 높은 관세를 유지하면서 일본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중남미·유럽 등 새로운 판로 개척에 나서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7일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전날부터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낮췄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의 2.5%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일본 자동차 업계는 이번 관세 조치 등으로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영업이익이 약 2조6천억엔(약 24조5천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미쓰비시자동차는 중남미 시장 개척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쓰비시자동차는 중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브라질에서 위탁 생산한 차량을 현지 판매에 집중해왔으나 앞으로는 아르헨티나 등 인근 국가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튼튼한 디자인과 오프로드 성능을 강조한 브랜드 이미지가 남미 소비자 성향에 부합한다"고 보고 있다.

마쓰다는 멕시코 생산 기지에서 미국으로 보내던 소형차 수출을 줄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크라인즈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으로 수출된 '마쓰다3' 물량은 전년 동월 대비 57% 감소했고, 소형 SUV 'CX-30' 역시 37% 줄었다. 대신 캐나다와 콜롬비아 등으로 수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판로를 넓히고 있다.

세계 1위 완성차 업체인 도요타자동차는 유럽에서 전기차(EV) 전략을 강화한다. 도요타는 2028년부터 체코 자회사를 통해 연간 10만 대 규모의 SUV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닛케이는 "미국이 7월 22일 일본과 관세 인하에 합의했지만 실제 인하까지 56일이 소요돼 일본 완성차 7개사에 하루 평균 30억엔(약 282억원) 규모의 부담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 일본 업체들이 미국 내 제품 가격을 10~15%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닛케이는 "공급망 재편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어서 당장은 세계 판로 재검토가 고관세 대응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