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입 수시모집에서 비수도권 지방 대학을 택한 수험생이 크게 늘었다. 경기 침체와 입시 불확실성 속에서 생활권에 있는 '집 가까운 대학'을 고르는 흐름으로 보인다.
종로학원이 21일 전국 192곳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방권 소재 대학 지원자는 10만4천272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10.2% 증가한 수치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이 12.4% 늘며 가장 큰 폭의 상승을 보였고, 강원권(11.7%)과 충청권(10.6%), 전라권(9.8%), 부산·울산·경남(8.0%), 제주(7.8%)가 뒤를 이었다. 특히 경북대는 지난해 12.91대1에서 올해 14.51대1로 올라 지방권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방권 대학 110곳 가운데 지원자가 줄어든 곳은 16곳뿐이었다. 나머지 대학은 모두 증가해 전반적인 확장세를 확인시켰다. 반면 서울권은 42곳 대학 중 20곳이, 경인권은 40곳 대학 중 17곳이 지원 감소를 기록했다.
이번 결과는 지원 이동의 방향이 생활권과 비용, 불확실성 관리에 맞춰졌음을 보여준다. 지방권 전반의 지원 확대 속에서 대구경북의 증가는 지역 거점 대학의 흡인력 강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경기 침체로 지방권 학생들이 무리하게 서울이나 경인권 소재 대학에 지원하는 것을 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의대 정원 축소, 사탐런 등으로 입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안정 지원 추세까지 맞물리며 지방대 수시 지원자가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북측 체제 존중…흡수통일·적대행위 안 해"
李대통령 22~26일 뉴욕방문…대통령실 "한미 회담은 없어"
[단독] 민주당 검찰개혁 증인, 흉기 쥔채 동거녀 폭행해 구속
윤여정 "동성애·이성애 모두 평등…한국은 너무 보수적"
與, 내란전담재판부 법안 발의…'사법부 압박, 후퇴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