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으로 위기에 놓인 지방의 해법으로 대학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교육부와 대구시·경상북도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청년 인구를 붙잡고 산업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종합 전략이다. 대학은 이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의 생존을 책임지는 혁신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교육부의 RISE 비전은 '지역 인재 양성과 취·창업, 정주를 통한 지역발전 생태계 구축'이다. 이는 수도권에 집중된 인재와 자원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고, 대학이 지역혁신의 핵심 주체가 돼 산업과 사회의 변화를 선도하도록 하겠다는 방향을 담고 있다.
핵심 목표는 ▷대학의 지역발전 허브화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 육성 등이다. 이를 위해 지역 내 수평적 거버넌스와 자율적 지역혁신체제 구축하고, 지역발전전략 연계와 대학 강점·특성화 분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교육부는 세부적으로 ▷중앙 및 지역 단위 RISE 추진체계 구축·운영 ▷지역별 RISE 계획 수립 ▷사업 운영 ▷성과관리 체계 구축·운영 등 4개 영역에 걸쳐 지원전략을 구성했다.
먼저 중앙은 교육부 등 중앙부처와 지방시대위·대교협·전문대교협·시도지사협의회 등 관련 기관 중심으로 RISE위원회를 구성·운영한다. 또한 지역 주도로 사업을 설계하고, 지역 주체 간 수평적인 협의 체계를 갖추도록 협력 체계를 마련한다.
각 지역은 지역RISE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도(지역RISE센터)·대학·산업계·교육청 등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하는 지역 내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한다. 지역RISE위원회는 지역의 RISE 기본계획과 사업 수행 대상을 선정한다. 또한 평가 결과와 성과관리 등 RISE 주요 추진사항에 대해 심의·의결한다.
아울러 지역별로 RISE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기본계획은 지역RISE위원회 등 심의를 거쳐 교육부에 제출한다. 이 과정에서 시도는 대학과 협력적·수평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역발전전략과 대학의 특성 등을 고려해 기본계획을 세우는 것이 핵심이다. '인재 양성-취·창업-정주 생태계' 구축을 위해 RISE를 플랫폼으로, 교육부 포함 범부처와 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연계한다.
대구시는 '대구 RISE 기본계획'을 통해 '미래 50년 번영 대구, 세계로 비상하는 대학'이라는 비전 아래 5대 미래산업인 ▷미래모빌리티 ▷로봇 ▷디지털 헬스케어 ▷반도체 ▷ABB(Automation, Battery, Bio) 분야의 혁신 인재 창출을 목표로 세웠다. 2029년까지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정주취업률을 각각 25%, 45%로 높일 계획이다.
경북도는 'K-대학을 대전환을 통한 아이디어 산업 활성화'를 비전으로, 지역정주 동반성장, 100년 대학 육성, 지산학연 일체화, 지역사회 동행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시군별 정주자 수와 대학연계 고용 창출을 늘리고, 나아가 평생·직업교육과 외국인 유학생 정주 등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성과관리 체계의 운영이 있다. 지역 주도의 자율적 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의 자체평가(지자체→대학, 매년 실시)를 기본 구조로 한다. 지역은 평가 계획을 수립해 매년 단위과제와 프로젝트별 목표 달성도를 자체 점검하고, 교육부는 연차 점검을 통해 지역별 RISE 진행 상황과 자체평가의 적절성을 확인한다.

댓글 많은 뉴스
美에 28조 통화 스와프 얻은 아르헨…한국은 뭐하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실 "이 상황에 무슨 말하겠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 셀프 왕따 인증…뭣이 중헌지 정말 몰라"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
李 대통령 지지율 지난주보다 5%p↓… '잘하고 있다'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