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노동시장 격차 해소와 상생 기반 마련을 위해 원청·협력사 간 동반성장 모델 구축에 나섰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도는 코모도호텔 경주에서 '지속 가능한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자동차부품 산업의 임금·복지 불균형을 줄이고, 지역 내 고용 안정과 상생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협약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유진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 주낙영 경주시장, 최기문 영천시장, 조현일 경산시장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1차 협력사 및 협력사 대표들이 참석해 공동 실천 의지를 다졌다.
경북에는 경주·영천·경산을 중심으로 전국 자동차부품 사업체 1만2천808곳 가운데 14%인 1천813곳이 집중돼 있다. 종사자만 3만6천여 명에 달하며, 연간 매출은 약 18조원 규모다.
그러나 관세 여파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지역 기업 경영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어 산업 재편과 재도약이 요구돼왔다.
이에 도는 지난 3월 고용노동부 지역주도 이중구조개선 지원사업을 통해 국비를 확보했다. 4월에는 상생협의체를 발족해 본격적인 격차 해소 논의를 시작했다. 이번 협약으로 협력사 근로자에게는 장기재직 장려금이 지원되고, 기업에는 복지 제도 신설, 작업환경 개선, 안전물품 보급, 생산성 및 품질 개선 등이 제공된다. 또 수요 기반 맞춤형 훈련과 외국인 전문 인력 교육을 통한 협력사의 경쟁력 강화도 병행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장기근속 장려금(1인당 월 30만원, 최대 6개월) ▷휴게시설·작업환경 점검 및 안전물품 지원 ▷설비개발·공정 최적화 등 기술지원 ▷맞춤형 훈련 및 외국인 인력 교육 등 네 가지 분야에서 지원이 이뤄진다. 경북도는 이를 통해 원청과 협력사,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추진하는 상생 거버넌스 체계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협약은 기관 간 역할과 책임을 구체화해 노동자에게는 안전한 일터를, 협력사에는 기술력과 생산성 향상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며 "경북형 상생 모델을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발전시켜 미래 성장의 거점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단독] 中 때문에 결혼식 취소 신라호텔... 美 머물 하얏트는?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