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지역에 새로운 기술을 상업적으로 시험 적용해볼 수 있는 전문실험시설이 들어선다.
24일 경북도와 포항시,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는 남구 지곡동 나노융합기술원 일원에서 '첨단제조혁신 테스트베드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이강덕 포항시장과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이칠구·서석영 경북도의회 의원, 김성근 포스텍 총장, 안수진 삼성전자 부사장 및 R&D 기관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센터는 총사업비 487억원을 투입해 연면적 1만5천㎡(지하 1층·지상 6층) 규모로 지어진다.
내부에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을 위한 클린룸, 설비동과 연구동, 첨단기술기업 입주공간 등이 들어서게 된다.
준공 목표는 2027년 초이다.
해당 센터는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할 와이드밴드갭(WBG) 전력반도체 소재 개발 거점으로 특히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AI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 향상과 자율주행차 반도체 전력 관리 등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꼽힌다.
포항시에 따르면 2030년쯤 해당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시장 규모가 14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포항시는 이번 센터 설립으로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제조 공간과 첨단 장비를 지원하고 수도권 기업 유치와 창업 유도, 기술 사업화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전국 10여개 반도체 분야 기업이 입주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센터가 완공되면 생산유발효과 83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00억원, 고용유발 200여 명규모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는 것이 포항시의 설명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모두가 안 된다고 할 때 고(故) 박정희 대통령께서 포항제철을 성공시켜 우리나라 산업화와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했고, 고 이건희 회장께서도 반도체 신화를 통해 대한민국을 세계 일류 국가로 도약시켰다"며 "오늘 센터 착공이 반도체 공정의 혁신적 연구개발을 이끌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포항이 혁신 산업의 미래를 주도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포항시와 포스텍은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을 통해 반도체·배터리 특성화대학원을 개원하고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 수준을 갖춘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찾은 장동혁 "TK 신공항·미분양 매입 적극 추진"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사퇴 압박받는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단독] 中 때문에 결혼식 취소 신라호텔... 美 머물 하얏트는?
李대통령, "美 3천500억불 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