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공개된 대통령실 참모진의 평균 재산은 22억 2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재산이 공개된 대통령실 고위 공직자 31명 가운데 11명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아파트 등 부동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6월 2일부터 7월 1일 사이 임명된 고위공직자 145명의 재산을 26일 공개했다.
이번에 재산이 공개된 대통령실 참모진 31명은 평균 22억2천만원의 재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 첫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대통령실 참모진의 평균 재산(34억3천만원)보다 12억원 가량 적었지만, 문재인 정부 청와대 참모진의 평균 재산(20억원)보다는 많았다.
재산 1위는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으로, 60억7천837만원을 보유했다. 김 비서관은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서울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6채와 서울 광진구 구의동 신원빌라트 아파트(35억원) 등 총 75억원의 부동산을 보유했다.
주식은 8억 9천472만원을 신고했는데, 이 중 3억 4천446만원은 게임 업체 넷마블 계열사인 넷마블네오의 비상장주식이었다. 배우자와 자녀 셋은 총 1억 6천380만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기도 했다. 김 비서관은 건물 임대 채무 및 금융 채무도 약 23억원이 있었다.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총 11억 8천374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주택 청약으로 매입해 부부가 공동소유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더샵 판교포레스트(7억 5천만원) 외에도 본인 명의로 같은 분당구 내 한 아파트 전세권(7억원)을 갖고 있었다. 총 9억 8천900만의 채무도 신고됐는데,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대장동 아파트 임대 채무(6억3천만원), 배우자 명의의 금융 채무(2억3천만원) 등이었다. 본인 명의의 사인 간 채무 6천만원도 있었다.
다음으로 많은 재산을 신고한 참모는 문진영 사회수석으로 55억 3천19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 명의의 강남구 역삼동 주상복합(10억 2천437만원), 용산구 이촌동 한가람 아파트(18억 8천400만원)와 장남 명의의 이촌동 강촌아파트(14억 1천100만원) 등을 포함해 총 52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보유했다.
이 대통령의 변호인 출신인 이태형 민정비서관 재산은 55억 3068만원이었다. 부인과 공동명의의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23억5200만원)과 장·차남 공동명의의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22억9000만원) 등을 신고했다.
지난해 말에 국회의원이었던 이재명 대통령,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등 4명의 재산은 지난 3월 국회의원 정기 재산 공개 때 공개됐다. 이 때문에 이번 재산 공개에서는 제외됐다.
댓글 많은 뉴스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
[단독] '尹나체 해부 묘사' 작품 건 봉산문화회관…구청장 지시에 전시회 직전 전시장 폐쇄
李 대통령, 체코와 정상회담…두코바니 원전 웨스팅하우스 논란 '무언급'
李대통령, 유엔총회 데뷔…'평화' 25번·'민주주의' 12번 언급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