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됨에 따라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 피해 복구가 본격 추진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25일 산불 피해복구를 위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면서 "실시 설계 중인 마을기반 조성사업과 마을단위 복구재생사업을 각각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산불로 마을 전체가 소실된 청송 달기약수탕과 영덕 노물리·석리는 국토교통부 특별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현재 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으로 총 마을단위 피해복구와 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한편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마을 전체를 관광지화 하는 사업을 병행한다.
청송 달기약수터의 경우에는 피해·노후주택 정비, 도로·상하수도 정비와 함께 달기약수터 관광단지 사업을 위한 테마파크와 힐링로드 조성 등이 추진된다. 영덕 노물리·석리에는 심리치유 트라우마센터, 방재시설 정비, 스마트 재난경보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안동·의성·영덕 등 5개 지구에서 국비 등 415억원을 들여 마을단위 피해 복구와 공동체 복원 지원 등 사업이 추진되고, 도도 자체 재원을 들여 피해지역 17개 마을에 대해 기반 시설 복구에 나선다.
농업이 주요 산업인 산불 피해 지자체에는 '공동영농모델'을 도입하고,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의성 단촌에 도입되는 공동영농모델은 내년부터 마늘·콩 이모작을 통해 13㏊에서 마늘 개별영농에 비해 약 2.2배가 넘는 4억5천800만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의성 점곡·옥산면 700㏊ 일원에는 스마트팜을 조성해 청년농업인 임대·교육 등에 활용한다.
도는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별로 맞춤형 개발 사업도 공개했다. ▷공공전담 ▷공공주도·민간참여 ▷민간주도 등 3대 분야로 구분한 주요 투자사업은 공공부분에선 산불피해 트라우마 극복, 산불 연구·예보, 산림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에 중점을 뒀다.
공공이 주도하되,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사업으로는 산악 레포츠 단지 및 스마트팜 조성 등이다. 도는 산림투자 선도지구 조성 등을 통해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이를 추진할 계획이다. 산림투자 선도지구는 산지 등 관리권한 위임과 규제완화, 기업 지원 특례 등이 부여돼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지구로 특별법에 해당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불 특별법 국회 통과로 복구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갖춰졌다. 피해주민이 빨리 일상과 안정을 되찾고 피해지역이 혁신적 재창조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
尹 모습에 눈물 쏟아낸 전한길…"목숨걸고 지키겠다"
통역 중 퇴장한 李…이준석 "직언할 인사없고 심기만 살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