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행정서비스가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통해 복구된다. 정부는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대구로 이전해 신속한 서비스 재개에 나선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9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해 화재로 기능이 중단된 대전 본원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해 서비스를 조속히 복원하기 위한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정보시스템이 전소돼 서비스가 중단된 96개 시스템을 재구축할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시설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대구센터는 행정·공공기관이 민간의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지난해 구축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에서는 시스템 인프라를 별도 구축하지 않더라도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중단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 장관은 이번 본원 화재의 원인으로 알려진 UPS와 배터리의 관리상황도 점검했다. 대구센터의 UPS실과 배터리실은 격벽으로 분리돼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설계가 적용됐으며, 지난 10일 전기안전공사의 법정 검사를 통해 안정성을 검증받았다.
윤 장관은 "대구센터 민관협력존을 활용해 이번 화재로 중단된 서비스가 신속히 복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짧은 기간 장애가 있는 여러 시스템을 새로운 전산실에 이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국민의 불편을 빠른 시일 내에 해소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이전작업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쯤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불은 58V 리튬배터리를 수납한 캐비넷 절반가량을 태웠으며, 열기로 전산실 항온항습기가 멈추자 서버 과열을 막기 위해 국정자원은 전산 시스템 전원을 긴급 차단했다. 이로 인해 정부 주요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리튬배터리 화재는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 완전 진화가 늦어져 화재 발생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에야 진압이 끝났다. 세금 납부, 민원서류 발급, 우체국 금융 서비스까지 멈추며 행정 전반이 사실상 '먹통'이 됐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28일 긴급 비상대책 회의를 열고 "신속한 시스템 복구와 국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라"고 지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中 관광객 '무비자 입국' 문 열렸다…2천700여 명 몰린 인천항 '북적'
李 대통령 지지율 심상치 않다…52%로 3주 연속 하락
78년만에 검찰청 사라진다…정부조직법 與주도 본회의 통과
통역 중 퇴장한 李…이준석 "직언할 인사없고 심기만 살펴"
尹 모습에 눈물 쏟아낸 전한길…"목숨걸고 지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