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8년째 개점 못한 국정자원 공주센터…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 '무용지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전 본원 화재 후폭풍, 공주 재해복구센터 지연이 피해 키웠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공주센터 조감도. 계룡건설 홈페이지 캡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공주센터 조감도. 계룡건설 홈페이지 캡쳐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이 충남 공주에 건립 중인 제4센터, 이른바 '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가 18년째 문을 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대전 본원 화재로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전국 행정업무와 금융서비스가 차질을 빚은 가운데, 공주센터가 제 기능을 했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24년 회계연도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공주센터는 2008년 '정보보호 중기종합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당초 2012년 완공 목표였으나 타당성 재조사 2차례, 사업자 선정 유찰 7차례, 입찰방식 변경 등으로 지연을 거듭하다가 2019년에야 착공했다. 그마저도 공사비 증액과 감리비 부족으로 중단되는 우여곡절 끝에 2023년 5월 건물 신축만 마쳤다.

센터는 화생방, 내진, 전자기파(EMP) 차폐 등 특수시설을 갖추고, 대전·광주센터가 동시에 마비되더라도 행정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설계됐다. 그러나 정부는 2023년 11월 전국 전산망 장애 사태를 계기로 운영 방식을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 시스템'으로 전환하기로 하면서 개청은 다시 미뤄졌다. 이는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 한쪽에 장애가 발생해도 즉시 다른 쪽이 서비스를 이어가는 고도화된 이중화 체계다.

그러나 사업 지연으로 예산액 집행도 늦어지면서 올해 5월 말 기준 공정률은 66.9% 수준에 불과하다. 예정대로라면 다음 달인 10월 공주센터가 문을 열어야 하지만 이마저도 불확실하다.

행안부는 "지난 8월부터 대전·광주센터 데이터를 공주센터에 백업 중이며, 전산 환경 구축 공사는 이달 말 완료될 예정"이라면서도 "재난복구 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