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대구 본격 이전…본원 전환 목소리 솔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활용해 빠른 이전…화재 확산 차단 설계도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해 국가 전산망 운영체계 등 안전 관리시설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방문해 국가 전산망 운영체계 등 안전 관리시설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스템이 대구로 본격 이전을 시작한 가운데 현재 분원 개념의 대구센터를 본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29일 화재로 기능이 중단된 대전 본원의 시스템 이전지로 대구센터를 택했다. 대전 본원의 화재 복구에 적잖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복구 대신 대구 이전으로 가닥을 잡았다.

대구센터로의 이전이 결정된 것은 화재 직접 피해를 입은 대전 본원 5층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9일 대구센터를 방문해 서비스 이전과 복구를 위한 준비상황을 점검하기도 했다.

2022년 6월부터 가동된 대구 국정자원은 동구 도학동 8만여㎡ 부지에 조성됐다. 충남 공주에 백업센터가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 이전이 가능한 곳은 대구와 광주 뿐이다.

업계는 대구 센터로의 시스템 이전이 결정된 것은 지난해 구축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영향이 컸다고 보고 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에서는 시스템 인프라를 별도로 구축하지 않더라도 기존 민간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중단된 시스템을 비교적 빠르게 이전·복구할 수 있어서다.

대구센터의 경우 화재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대구센터의 UPS(무정전전원공급장치)실과 배터리실은 격벽으로 분리돼 있어 화재 확산을 차단하는 설계가 적용됐다. 이번 화재처럼 UPS실에 설치된 배터리에서 난 불이 사고로 확산할 수 없는 구조다. 대구센터는 지난 10일 전기안전공사의 법정 검사를 통해 안정성도 검증받았다.

정부는 대구센터가 민간과 함께 구축한 클라우드를 쓰고 있음에도 보안 우려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민간 클라우드라 하더라도 국정자원 보안시설과 망 분리체계를 공유해 국가기관이 요구하는 수준의 보안요건을 충족한다"며 "분산 배치를 통해 과부하도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에서는 이번 대구 이전을 계기로 정부가 대구센터의 본원 전환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탁병철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는 "지금까지 재난 시 복구 매커니즘 자체가 없었던 것 같다. 복구에 4주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도 이 때문"이라며 "대구로 기존 시스템을 이전키로 한 만큼 본원을 옮겨 시스템을 운영하되 시스템 보완은 필요하다. 대구 위주로 서비스를 하면서도 클라우드를 활용해 유사시 다른 센터가 대체할 수 있도록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