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공동영농' 모델, 내년부터 국비 시범사업으로 확대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농식품부, 2030년까지 공동영농법인 100곳 육성 목표… 경북형 모델 전국 확산 기대

23일 오후 경북 문경시 영순면 혁신농업타운 들녘에서 열린
23일 오후 경북 문경시 영순면 혁신농업타운 들녘에서 열린 '농업소득을 두배로, 경북 농업대전환 성과보고회'에서 이철우(앞줄 왼쪽 세번째부터) 경북도지사와 송미령 농림부 장관, 임이자(상주·문경) 국민의힘 의원, 신현국 문경시장 등 참석자들이 양파를 수확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농업대전환'의 핵심사업으로 추진해 온 공동영농 사업이 내년부터는 국비 공모사업으로 확대된다.

경북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공동영농 확산지원' 사업을 시범 사업으로 추진한다. 공동영농 사업은 정부 국정과제로 오는 2030년까지 공동영농법인 100곳 육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시범사업 기간인 내년에는 6곳을 선정한다.

문경 영순지구(들녘 특구)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경북형 공동영농은 현재 도내 23곳에서 추진 중이다. 지주가 주주가 되는 이른바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의 모델로 주목받아 왔다.

특구에선 기존의 쌀농사 대신 콩·보리 등 이모작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내년부터 추진되는 시범사업에는 선정 지구에 대해선 2년 간 20억원이 지원된다. 공동 영농법인에 교육·컨설팅, 공동영농 기반 정비, 시설·장비 지원, 마케팅·판로 개척 등이 이뤄진다.

지원 대상은 공동영농 20㏊이상 농업인 5명 이상 참여하는 농업 법인으로, 쌀을 제외한 식량작물, 과수, 조사료 등 모든 품목에 대해 지원이 가능하다.

사업 신청을 희망하는 공동영농법인은 오는 30일까지 경북도로 신청하면 된다. 도는 사업성 검토, 심의 등을 거쳐 농식품부에 추천한다. 최종 사업대상자는 서면·현장 평가 등을 거쳐 다음 달 말쯤 선정된다.

선정된 공동영농법인은 농지 집적화 방식, 영농 주체 및 수입 배분 방식에 따라 공동영농 모델을 유형화해 임대형, 혼합형(농작업수탁+농지임대), 출자형으로 나눠 시·군 특성에 맞는 모델로 육성될 예정이다.

도는 경북형 공동영농 모델이 국비지원과 함께 농지 임대절차 간소화, 직불금 수령 요건 완화, 세제 개선 등을 통해 더욱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의 도전이 대한민국 농업의 기틀을 새로이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고령화, 정체된 농업소득, 낮은 곡물자급률 등 농업·농촌 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경북의 농업대전환을 앞으로 더욱 확산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