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첫 대구 방문… 2030 청년들 '일자리·복지·창업 실질 대책 원한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청년들 '현금성 지원보다 지속가능한 복지·구조적 개선 필요'"
"'고향 떠나지 않고 살 수 있게'… 지역 일자리·상권 활성화 대책 촉구"

19일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모습. 통계청은 올해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23만8천명 중 3년 이상 취업 준비없이 보낸 청년이 8만2천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 연합뉴스
19일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모습. 통계청은 올해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23만8천명 중 3년 이상 취업 준비없이 보낸 청년이 8만2천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을 두고 2030 청년들은 일자리, 경제, 부동산, 복지, 인구 정책 등 다방면에서 정부가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바라고 있었다.

청년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유정수(37·자영업자) 씨는 "오래된 상권의 낡은 건물에 들어가서 그대로 영업을 하고 있는데, 그 감성을 젊은 세대가 좋아하는 것 같다. 점주들도 대부분 젊은 사람들"이라며 "이런 흐름이 계속 이어지려면 예상 가능한 문제에 대한 실질적 도움이 적재적소에 주어져야 한다. 청년들의 창업 자금 지원도 좋지만 낡은 건물 리모델링 과정에서의 안전·비용 문제, 주택가와 상가가 혼재된 지역의 쓰레기·악취 문제 등 현실적 문제도 산적해 있다. 상권 재활성화를 위해서 중앙정부가 '관리 및 지원 매뉴얼'을 만들어 각 지자체에 전파하는 게 좋겠다"고 바람했다.

현금성·일회성 복지 정책보다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복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시내(30대·프리랜서) 씨는 "대구는 여전히 저임금 문제가 큰 과제인데, 단순한 현금성 지원 만으로는 주거나 저출생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일회성 지원에 그치지 않고 사회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보다 젊은 20대 청년들은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을 주문했다.

이재훈(26·대학생) 씨는 "지역에서 초,중,고를 나온 친구들이 일자리가 없으니까 취업 시즌이 되면 대구를 많이 떠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졸업 후 고향을 떠나지 않고 대구에서 일하고 싶어도, 먹고 살 것이 없어서 고향을 떠나는 게 청년들의 현실"이라며 "취업난은 개인이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특히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대구가 자영업자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자본이 있다면 창업을 하겠지만, 자영업은 경기 침체에 상당히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정부가 주도해서 대구에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해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혜연(26·취업준비생) 씨는 "지방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좋겠다. 단순히 일자리 수만 늘리는 게 아니라, 양과 질이 모두 나아지는 방향이길 바란다"며 "평균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다보면, 생활비 마련 때문에 구직 활동에만 전념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긴다. 정부가 청년 실업을 사회적 문제로 본다면, 취업 준비기간에 활용 가능한 지원제도들을 더 늘려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