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봉화군의회, 석포면 주민과 생존권 간담회 개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제련소 이전·폐쇄 논란, 생존이 걸린 문제"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논란 확산 속 주민·의회·기업 한자리

봉화군의회 의원들이 지난 23일
봉화군의회 의원들이 지난 23일 '석포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본부'를 찾아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가진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봉화군의회 제공

경북 봉화군의회가 최근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논란으로 불안이 커지고 있는 석포면 주민들과 머리를 맞댔다.

군의회는 지난 23일 '석포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본부'를 찾아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지역경제 안정과 주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제련소 이전과 폐쇄 가능성이 거론되며 지역사회 전반에 불안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주민들의 현실적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간담회에서 주민들은 "제련소는 석포의 생명줄이자 일터"라며 "이전이나 폐쇄는 곧 지역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호소했다.

석포제련소는 600여명의 임직원과 협력업체,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으며, 지역 내 소비와 일자리를 지탱하는 핵심 산업으로 꼽힌다.

봉화군의회 의원들은 "석포제련소 문제는 단순한 산업 이슈가 아닌 주민의 생존이 걸린 사안"이라며 "군의회는 주민의 현실적 어려움을 최우선에 두고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제련소 관계자들도 "무방류 시스템 도입과 삼중 차수벽 설치 등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주민과 함께 지역 상생의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의회 관계자는 "지역의 생존권이 지켜지는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며 "환경 보전과 생계 유지가 공존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봉화군의회는 앞으로도 주민·기업·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하며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석포지역에서는 "우린 먹고 살아야 한다"는 절박한 외침 속에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가 출범했다. 주민 500여 명이 모여 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으며, 제련소 측도 환경 개선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중재자 역할을 맡아 환경과 생존이 공존할 수 있는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23일
지난 23일 '석포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본부'를 찾아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지역경제 안정과 주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봉화군의회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