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염전 노예' 논란에 ···국내 최대 신안 염전 '국가문화유산' 취소 신청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부정적 시선에 문화유산 의미와 상징성 잃어"

지난 4월 전남 신안군 증도 태평염전에서 작업자가 염전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월 전남 신안군 증도 태평염전에서 작업자가 염전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가등록문화유산인 국내 최대 염전이 문화유산 등록 말소를 신청해 심의 절차를 밟고 있다.

전남 신안군 증도에 있는 태평염전은 최근 국가유산청에 태평염전과 석조소금창고 두 건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말소를 신청했다고 26일 밝혔다.

강제노동 의혹으로 미국 정부가 지난 4월 태평염전에서 생산한 천일염의 수입을 막은 것이 계기가 됐다. 자연재해나 화재 등으로 문화유산이 훼손되지 않았는데도 소유자가 등록 말소를 신청한 것은 이례적이다.

태평염전의 문화유산 등록 말소 여부는 신안군이 심의를 시작했으며 전남도를 거쳐 국가유산청이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신안 증도의 태평염전과 석조소금창고는 지난 2007년 신안 비금도 대동염전과 함께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됐다.

태평염전은 지난 1953년부터 70년 넘게 바닷물을 증발시켜 얻은 소금인 천일염을 생산해왔다.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 구제와 국내 소금 생산 증대를 목적으로 건립한 태평염전은 전증도와 후증도를 둑으로 연결하고 그사이 갯벌에 조성한 국내 최대의 단일 염전이다.

소금창고는 개조를 거쳐 소금박물관으로 탈바꿈했는데 돌로 만든 초기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태평염전은 국가유산청에 낸 의견서에서 "태평염전은 일제강점기 이후의 염업 발달을 상징하는 산업 유산으로 등록됐으나 강제노동 사건으로 상징성과 사회적 의미가 심각히 훼손됐다"면서 "더는 산업의 발전사나 지역 사회의 생활사를 긍정적으로 상징하는 기능을 하지 못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적시했다.

이어 "태평염전의 천일염과 관련 제품에 대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이 수입 금지 조처를 내린 것은 국제사회에서 이 문화유산이 인권침해 산업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해당 유산이 보존의 공공적 정당성을 상실한 것"이라고 밝혔다.

태평염전은 지난 2021년 드러난 염전 강제 노동 사건과 관련해 지난 5월 미국 정부가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리자 미국에 해당 조치를 철회해달라는 청원서를 내고 진실을 소명하기 위해 제3자 기관 감사를 받을 예정이다. 올해 제3자 기관 감사를 계획했지만,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내년 상반기 감사를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태평염전 측은 국가등록문화유산 유지와 관리에 따른 비용과 책임은 컸지만 지원이나 혜택은 거의 없었다고 강조했다.

태평염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말소 신청은 국내 천일염 산업의 지속가능한발전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나왔다.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인 신안군의 염전 허가 면적은 현재 2천㏊ 정도로 지난 10년간 태양광 사업과 양식장 등으로 3분의 1가량 줄었다. 태평염전에서도 상당한 규모의 염전이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