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가 경북 포항을 중심으로 미드니켈 기술을 통한 제품 다각화에 나선다.
28일 에코프로에 따르면 자동차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의 양극소재 가격 인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업계에서는 선도적으로 고전압 단결정 기술을 적용해 HVM(고전압 미드니켈) 기술 검증을 마치고 양산 준비에 들어갔다.
이미 글로벌 자동차 OEM 및 셀 업체들과 공급 협의를 진행했으며, 2027년 본격 양산을 위한 라인 개조에도 착수했다.
에코프로는 우선 미드니켈 생산 기지를 경북 포항에 구축하고, 향후 헝가리 양극재 라인에도 적용해 유럽 OEM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헝가리 공장은 총 면적 44만㎡ 부지에 3개 라인 기준 연 5만4천t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시장이 확대되면 비슷한 규모 3개 라인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미드니켈 양극재는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하이니켈(니켈함량 90% 이상)과 달리 니켈 함량이 60% 수준이다. 삼원계 양극재의 주요 원료인 니켈의 원가 비중은 70% 안팎으로, 니켈 함량을 낮추면 양극재 가격을 인하할 수 있다.
에코프로는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투자를 통해 양질의 니켈을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미드니켈의 가격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에코프로는 인니 술라웨시섬 IMIP 산업단지 내에 자리한 4개 제련소에 약 7천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또 인근 IGIP 산업단지에도 약 6만6천t 규모의 니켈 중간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2단계 투자 계획을 진행 중에 있다.
HVM은 단결정으로 고전압 성능을 확보하고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한 기술적 차별점을 갖추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특히 기존 미드니켈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저온 성능까지 크게 개선해 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리미엄 전기차 모델에서 차별화된 하이니켈 기술로 시장을 선도해온 에코프로는 HVM을 활용해 중저가 모델에서도 시장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에코프로비엠 공보현 개발담당 상무는 "자체 개발한 단결정 양극재 기술을 미드니켈 소재에 적용해 높은 전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줄여 성능을 개선시켰다"며 "단결정은 양극재 입자가 하나의 연속된 결정구조로 이뤄진 소재로 충방전이 반복되더라도 구조가 깨지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