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하는 '2025년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안전관리체계가 자리잡힌 대기업·공공기관이 중소기업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안전보건 컨설팅과 현장 개선활동을 진행하는 협력 프로그램이다.
중소기업은 비용 부담 없이 컨설팅과 안전비품을 제공받고 대기업·공공기관들은 정부 예산 환급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PA는 지난 2020년부터 사업에 참여하며 6년째 운영을 이어오고 있다. 올해는 안전관리 개선 의지를 가진 신항 배후단지 입주 중소기업 6개 사가 참여했으며, 이 중 5개 사는 50인 미만 사업장이다.
올해 BPA는 신임 기관장 취임 이후 새롭게 수립된 노사 공동 안전보건경영방침을 공유하고, 상생협력사업을 시행했다. 반년의 사업기간 동안 총 6차례의 협의체를 운영하며 참여사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이어갔다.
BPA는 실효성 있는 사업 운영을 위해 참여기업들의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 인정을 연간 목표로 설정하고, 평가에 도전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교육비, 개선 활동비, 포상 인센티브 등 실질적인 유인책을 제공했다.
이와 더불어 항만 현장의 특성을 고려해 지게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난간, 센서, 레이저 장치를 비롯해 AED(자동심장충격기), 추락감지형 스마트 안전조끼, 응급키트, 보호구 등을 지원했다.
현장 밀착형 안전문화 확산 활동도 적극 추진했다.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 작업중지권 인식 제고 캠페인 등 계절 특성을 반영한 대응 활동 병행은 물론, 종사자의 안전권리 인식 제고에도 힘써왔다.
송상근 BPA 사장은 "일회성 지원을 넘어, 지역 중소기업이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을 키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사업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위험성평가 고도화, 종사자 참여 확대, 자율안전문화 정착을 통해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건강한 부산항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