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합계출산율 0.75, 고령화 세계 1위'…이효수, 위기 속 희망의 해법 제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 신간 '한국의 시간' 출간
초저출산·양극화·국가분열, '복합 시스템 위기' 진단
"지금이야말로 한국이 다시 일어설 희망의 시간"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의 신간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의 신간 '한국의 시간–대협곡의 벼랑 끝에서 희망을 말하다'의 표지. 영남대 언론출판문화원 제공

"합계출산율 0.75, 고령화 속도 세계 1위."

2024년 대한민국이 세운 세계 신기록이다. 텅 빈 교실과 소멸 위기의 도시, 붕괴되는 경제, 분열하는 사회 등 오늘날 우리의 모습이다.

이효수 전 영남대 총장은 신간 '한국의 시간-대협곡의 벼랑 끝에서 희망을 말하다'(이하 한국의 시간)에서 한국 사회가 "경제·사회·정치·문화가 동시에 흔들리는 복합 시스템 리스크"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위기의 중심에 세계 사상 유례없는 '초저출산'을 지목했다. 2002년부터 지속된 출산율 하락은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인구 감소로 이어지며 '인구재앙 쓰나미'를 불러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효수 전 총장은 이러한 인구 충격이 저성장, 양극화, 부채, 안보 위기와 맞물리며 "국가 시스템 전반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국민 다수가 이러한 위기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한 채 "자신과 무관한 일로 치부하는 착각 속에 머물러 있다"고 경고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한 위기론에 머물지 않는다. 그는 한국이 다시 도약할 수 있는 '희망의 시간'을 강조하며, 4대 위기를 극복할 전략과 3대 역사적 기회를 제시했다.

저자는 한국의 미래를 열 3대 기회로 ▷제4차 산업혁명과 창조경제로의 이행 ▷인재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한류와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꼽았다. 이 세 가지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인재'이며, 그는 이를 '인재주의 패러다임'으로 정의했다.

'한국의 시간'은 진단을 넘어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한다. 출산·육아 정책부터 노동시장, 교육제도, 기업문화, 국토개발 정책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한다. 그는 "4대 위기는 국민의 각성과 행동 변화 없이는 결코 극복될 수 없다"며 "지금이야말로 추락하는 한국이 다시 날아오를 최적의 타이밍"이라고 강조했다.

이효수 전 총장은 서울대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영남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인재주의 경제학자'로 불리며 '창조경제', 'Y형 인재에 투자하라', '인재주의 경제학' 등 21권의 저서를 펴냈다. 또한 국민경제자문회의와 대통령 자문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인재 중심의 경제 패러다임을 정책에 반영해왔다.

그는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그리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한국 사회가 두려움이 아닌 '대전환의 용기'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의 시간'은 개인과 기업, 국가 모두에게 던지는 생존 전략서로, 위기의 시대 속에서도 희망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