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3만5천원, 공무원들 밥상 차려줄 때 골목상권은 비어갑니다."
하기태 영천시의원이 갈수록 침체되는 시청 주변 상권 활성화를 위해 영천시에서 직영하는 구내식당 운영 체계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3일 하 시의원에 따르면 영천시청 구내식당은 공무원 전용으로 월 3만5천원을 급여 원천징수와 함께 조리원 인건비 및 보험료 등으로 8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하루 점심 1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용일수 20일 기준 점심 1식당 평균 가격이 1천750원으로 7천원에서 1만원 안팎인 시청 주변 식당가 평균 점심 가격 대비 최대 6분의 1에 불과하다.
영천시청에 근무하는 공무원 대다수는 매월 14만원의 급식비를 지급 받으면서도 구내식당 이용을 위해 급여 원천징수를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하 시의원은 "시민 밥상은 못 차려주면서 공무원 밥상만 챙기는 구조는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식당 매출 감소→종업원 고용 및 일자리 축소→지방세 감소'로 이어지는 지역경제 악순환과 상가 공실 증가 등에 따른 도시 활력 저하 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경북지역 내 다른 시부 지자체의 경우 이런 사정을 감안해 구내식당 운영을 입찰제 및 위탁 운영하며 1회 식사비를 5천~7천원 정도로 책정하고 있다. 경주시와 문경시는 구내식당을 운영하지 아예 않고 있다.
하 시의원은 "경기회복 시점까지 구내식당 운영 잠정 중단이나 공무원들의 시청 주변 식당 이용, 가격 현실화를 통한 주변 식당의 경쟁력 유도 등 현실적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무원도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지역 소상공인과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 (공무원) 한 끼, 한 끼의 발걸음이 메마른 골목상권에 단비의 첫 방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넉넉하지 않은 급여를 받는 8·9급 공무원들은 불만이 생길 수도 있겠지만 자영업자들이 하루하루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현실을 이해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영천시 관계자는 "시청 구내식당 운영 방식에 대해 다각적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