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유명 카페에서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하며 논란이 인 가운데 대구에서도 '반(反) 중국 정서'가 담긴 게시물을 올리는 음식점이 생겨나고 있다. 국내 일부에서 시작된 반중 감정이 지역으로까지 확산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30일 대구 북구 고성동에 있는 한 음식점은 가게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중국인 손님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해당 매장은 SNS에 '매장에 한국 손님들이 시끌벅적한 건 좋지만 중국인이 시끌벅적한 건 원하지 않는다'며 'Only No China restaurant(중국인 손님 사절 가게)'이라고 쓴 게시물을 올렸다.
계정은 비슷한 글을 여러 차례 올리며 반중 입장을 드러냈다. 게시물에는 가게 외벽에 내건 태극기 사진과 함께 '자영업자는 (손님이 줄 것을 우려해) 정치적 성향을 감추지만, 이제는 떳떳하게 표출해야 할 때'라며 '태극기를 보고 중국인들이 알아서 오지 말길 바란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곳 사장 A씨는 "최근 캄보디아 범죄 단지 등 중국과 관련된 부정적인 이슈가 양산되고 있지만, 크게 이슈화되지 않아 사람들이 잘 모른다고 생각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중국인을 받지 않는다고 공언했다"며 "실제로 글을 본 뒤 관련 시민단체 등에서 응원의 의미로 가게를 찾아주시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중국인을 받지 않는 기조를 이어나갈 예정"이라며 "만약 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앞서 한국의 대표 관광명소로 꼽히는 서울 성수동의 한 유명 카페에서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한 데 이어, 지역으로까지 '반중'을 내세운 음식점이 생기자 시민들은 엇갈리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 누리꾼은 "대마도에 한국인 출입 금지 안내를 붙인 게 떠오른다. 약자를 대상으로 한 분 풀이일 뿐"이라고 비판하는 한편, "오히려 (식당에) 한 번 가고 싶다"며 가게를 옹호하는 반응도 잇따랐다.
지역 내 중국인들은 반발하고 있다. 중국인 이용자들은 SNS와 커뮤니티 댓글을 통해 "타인에 대한 증오는 결국 자신에게 돌아온다", "이번 사건은 부당한 인종차별이지만, 한국인 대부분이 이런 생각을 가진 것은 아닐 것" 등 입장을 보였다.
자영업 운영은 사업자 개인의 자율에 달려 있는 부분이라 반중 정서를 자극하는 문구를 삭제하도록 강제할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서울 성수동 카페의 경우 국가인권위원회가 '중국인 손님을 받지 않겠다는 안내는 인종차별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신고를 접수해 조사에 착수한 이후에야 논란이 되는 문구를 삭제했다.
전문가들은 특정 국가를 혐오하는 것으로 비춰지는 발언은 '표현의 자유'로 포장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캄보디아 범죄 단지 등 중국과 관련된 부정적인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면서, 중국인 전부가 문제라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한 사례로 보인다"며 "지역민들은 어떠한 근거 없이 무작정 중국인을 배척하는 행위는 이성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혐오 글에 휘둘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지용 계명대 중국어중국학과 교수는 "화제성 발언이 자칫 한국인 대다수가 반중 정서를 지닌 것처럼 비춰져선 안 된다. 혐오 정서를 자극해 관심을 끌거나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는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한국형 첫 핵추진 잠수함 함명은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