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간판기업' 엘앤에프가 LFP(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탈중국' 공급망을 주도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LFP 양극재를 중심으로 급속한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LFP 양극재 적재량은 90만 2천t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7% 급증했다. LFP가 삼원계(NCM)를 제치고 전체 양극재 시장 점유율 약 59%를 기록했다.
LFP 배터리는 안정성이 높고 철·인 등 풍부한 원재료로 원가 경쟁력이 높다. 전기차 보조금 축소로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는 중저가 전기차 시장은 물론, 긴 수명과 높은 안전성 덕분에 인공지능(AI) 인프라의 핵심으로 부상한 ESS 분야에서도 수요가 높다.
다만 현재 글로벌 LFP 양극재 생산의 약 90% 이상이 중국에 집중되어 있어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2025년부터 중국산 소재를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증된 LFP 양극재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엘앤에프는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발맞춰 선제적으로 LFP 사업에 뛰어들었다. 회사는 LFP 양극재 전담 법인 '㈜엘앤에프플러스' 설립을 완료했고 약 3천382억 원을 투자해 연 6만t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양산 공장의 경우 지난 8월 착공에 돌입했으며 내년 상반기 준공,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엘앤에프 LFP 양극재의 강점은 고밀도 기술력이다. 입자 미세화, 전구체 합성 최적화, 탄소 코팅 균일화 등의 기술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15~20% 향상시켰으며, 삼원계 미드니켈 제품 수준의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또 국내외 주요 고객사들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시장 선점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 5월 국내 주요 배터리 셀 제조업체와 LFP 배터리 공급 활성화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7월에는 SK온과 북미 지역 LFP 배터리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MOU를 맺었다.
LFP 신규 사업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에서도 시장의 높은 신뢰를 확인했다. 지난 9월 진행된 신주인수권부사채(BW) 일반공모에는 모집금액 2천억 원 대비 총 10조 3천362억 원의 청약자금이 몰리며 51.89대 1의 경쟁률을 기록, 국내 BW 공모 역사상 최대 청약대금을 달성했다.
엘앤에프는 기존 삼원계 양극재의 고성능, LFP 양극재의 고안정성을 아우르는 '투트랙' 전략으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권혁원 엘앤에프 공정개발연구소장은 "LFP 국산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엘앤에프는 국내 유일 양산 체계를 기반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중심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중국 대체재를 넘어, 글로벌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도약할 수 있는 결정적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민 절반 이상…李대통령 공직선거법 재판 재개해야"
정성호 "대장동 사건은 성공한 수사, 성공한 재판"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한동훈 "조씨(조국), 구질구질 대타 세우고 도망가지 말고 토론 나와라"
"법무차관이 사실상 항소 포기 요구"…고개 든 정성호 사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