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울·수도권 주택공급을 최우선 국정 현안으로 규정하며 '주택공급촉진 관계장관회의'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회의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16개 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공급 전담 협의체로 구성됐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차 회의에서 "시장이 다소 진정됐지만 방심할 단계가 아니다"며 공급 가속화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이어 구 부총리는 지난달 15일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낮아지는 흐름을 언급하며 "전주 대비 상승률이 줄었지만 시장 불안 요소는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9월 5주 0.27%까지 올랐던 서울 아파트 변동률은 11월 둘째 주 0.17%로 낮아진 상태다. 수도권 역시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추가 불안 요인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구 부총리는 격주 단위 장·차관회의와 수시 분과회의를 통해 이행 점검, 보완과제 발굴, 쟁점 조정 등을 촘촘하게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부처 간 입장 차로 공급이 지연됐던 사안은 장·차관급에서 직접 조율해 속도를 높이겠다는 점도 강조됐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각 부처별 협조 과제를 전달하고 도심 우수입지 중심의 공급계획 가속화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구 부총리는 실수요자가 집값 상승 우려에서 벗어나도록 구체적 공급계획을 빠르게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도 공급기반 약화를 현 상황의 핵심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고금리, 공사비 상승,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로 공급 여력이 전반적으로 약해진 상황"이라며 정비·개발사업 추진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에 5년 내 135만호 공급을 목표로 한 '9·7 대책'의 속도전과 '10·15 대책'의 시장 안정 효과를 연계시켜 공급효과를 앞당기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항명 검사 파면"…법 바꿔서라도 檢 징계한다는 민주당
한동훈 "조씨(조국), 구질구질 대타 세우고 도망가지 말고 토론 나와라"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