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로운 대구 춤을 만나는 시간…대구시립무용단 기획공연 '2025 뉴 대구 댄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객원 안무가 금배섭, 조동혁 그리고 시립무용단 무용수 박종수, 김동석
12월 12일(금) 오후 7시30분 / 13일(토) 오후 5시,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

2025NDD 메인포스터 최종. 대구문화예술진흥원
2025NDD 메인포스터 최종.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종수-Pain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박종수-Pain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대구시립무용단의 기획공연 '2025 NDD(New Daegu Dance, 뉴 대구 댄스)'가 오는 12월 12일(금)~13일(토) 양일간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에서 공연된다.

올해는 객원 안무가 2인과 시립무용단 소속 안무가 2인이 함께 참여해, 각기 다른 개성과 시선을 담은 4편의 작품을 한 무대에서 선보인다. 참여 안무가는 서울에서 활동 중인 금배섭, 지역 공모를 통해 선정된 조동혁, 그리고 대구시립무용단의 박종수와 김동석이다.

먼저, 금배섭 안무가의 '부유'는 목적 없이 떠다니는 사물, 동물, 인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시선을 춤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안무가는 부유하는 존재로서 무대 위 흐름과 움직임을 관찰하며, 그 감각을 무용수들의 몸으로 구현한다. 대구시립무용단의 김인회, 김홍영, 김초슬, 손하은이 출연한다. 음악감독 옴브레(Ohmbre), 드라마터그 김풍년이 함께한다.

조동혁 안무가가 대구시립무용단과 함께 선보이는 작품 '어부바'는 서로의 무게를 나누며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의지와 책임, 사랑과 순환의 감정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작품은 두 몸이 하나로 이어지는 순간의 경험을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풀어내다. 1인무로 무용수 여연경이 출연하고, 음악감독으로 밴드 '악어들'의 유지완이 참여한다.

조동혁-어부바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조동혁-어부바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김동석-공명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김동석-공명 ©김정환. 대구시립무용단

대구시립무용단 박종수 단원의 안무로 선보이는 'Pain'은 인간이 겪는 내면과 외면의 고통을 여정처럼 따라가는 작품이다. 사랑의 상실, 자기 부정, 외로움, 육체적 고통 등 다양한 감정을 몸의 언어로 표현하며 침묵에서 붕괴, 회상, 무감각, 저항으로 이어지는 고통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존재로 나아가려는 몸의 의지와 회복의 가능성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김분선, 오찬명, 이광진, 송은주, 이람, 김경영, 이태훈, 최아진이 출연하며, 음악감독으로는 서영완이 참여한다.

대구시립무용단 김동석 단원의 안무작 '공명'은 "나는, 우리는 그리고 인간은 무엇에 흔들리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작품은 개인이 경험하는 내적·외적 흔들림과 그로 인한 감정 변화를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탐색하며, 내면에 머물던 감정과 감각이 무대 위에서 몸의 언어로 드러낸다. 박정은, 임현준, 김가영이 출연한다.

공연에 앞서 4개 작품을 먼저 만나 볼 수 있는 오픈 리허설이 11월 28일(금) 오후 7시 시립무용단 연습실에서 무료로 진행되며, 온라인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공연은 12월 12일(금)오후 7시30분, 13일(토) 오후 5시에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에서 개최된다. 전석 2만원. 문의 053-430-7656.

안무가 조동혁.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조동혁.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박종수.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박종수.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김동석.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김동석.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금배섭.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안무가 금배섭.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