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주요 관광지에서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관광객의 이른바 '대변 테러'가 잇따르면서 문화재 보호와 관광 질서 논란이 불붙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의 용변 테러 목겸담은 올들어 자주 포착되고 있다.
지난달 한라산국립공원 홈페이지 '제안합니다' 게시판에는 '한라산에서 변 싸고 고성방가 중국인들 어떻게 안 되나요?'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이 올라왔다.
신고자는 9월 30일 성판악 코스 하산 중 진달래밭 대피소 인근에서 6~7세로 보이는 아이가 용변을 보고, 보호자로 보이는 여성이 배설물을 수거하지 않은 채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랑스럽고 아름다운 우리의 한라산에, 우리네 진달래 밭에 대변이라니요?"라며 "민폐행동 시 처벌 받을 수 있다는 걸 엄격하게 알려주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중국인 관광객의 용변 테러 민원은 해당 사례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10일에는 서울 경복궁 북문 신무문 돌담 아래에서 중국인 관광객으로 확인된 70대 남성이 배변을 하다 적발돼 파장이 일었다.
특히 해당 구역은 사적 제117호로 지정된 문화재 구간으로, 당시 단체 관광객 수십 명이 함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보다 앞선 9월 초에도 제주 용머리해안에서 한 관광객이 어린이의 용변을 처리하지 않고 떠났다는 목격담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졌다.
해당 장소 역시 천연기념물이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보호구역으로 엄격한 출입·관리 규정이 적용되는 지역이다.
지난해 6월에도 중국인 관광객으로 추정되는 남자아이가 제주도의 대로변에서 대변을 보는 모습이 온라인상에 공개돼 논란이 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유네스코 등재 지역이나 사적 구역에서도 기초적인 규칙 위반이 반복되고 있다며 범칙금 부과 등 재발 방지를 위해 지자체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13일 페이스북에서 "대표 문화유산에서 기본적인 에티켓이 지켜지지 않는 사례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며 "범칙금 부과 같은 조치를 통해 경각심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일들이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관련 정부 부처 및 지자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오세훈 세운상가 재개발 지지" 여권 종묘 뷰 비판엔 "덕수궁 앞 플라자호텔도 철거해야"
이 대통령, 남아공 동포들에 "또 계엄할까 걱정 않도록 최선"
가덕도 입찰 재개하는데…대구경북신공항 운명은?
"尹, 국정원 업무보고 자리서 폭탄주에 취해 업혀 나왔다…테이블마다 '소폭'말아"
李대통령 "무인기·대북방송 바보짓…北 쫓아가서라도 말붙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