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특화 항만으로 육성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운항거리 40% 단축·물류비 25% 절감'… 포항 영일만항 세계 해운 재편의 전진기지로
'북극항로 특별법' 통한 조선·에너지·AI 물류 융복합 전략 제시

25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5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북극항로 특화전략 포럼'에서 참가자들이 한국의 북극항로 개발과 포항 영일만항의 거점항만 지정을 희망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심현우 기자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해 해빙 가속화로 '북극항로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대한민국이 새로운 해양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략 논의가 국회에서 열렸다.

이번 논의에서 북극항로 시대를 국가적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산업 전략 기술 로드맵 ▷외교협력 ▷제도적 기반 등이 총체적으로 제시됐다.

25일 정희용·김정재·이상휘 국회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경북도와 포항시가 주관한 '북극항로 특화전략 포럼'이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북극항로, 새로운 해양 패러다임과 포항 영일만항의 도전'을 주제로, 북극항로의 경제적·안보적 가치를 분석하고 대한민국의 전략적 진출 방안, 제도적 뒷받침 마련 등을 집중 논의하는 자리이다.

외교·해운·에너지·기술 분야 전문가들이 이번 포럼에 참여해 북극항로의 구체적 실현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홍현익 전 국립외교원장은 '북극항로:기회와 도전, 그리고 한·러관계 발전 방안'이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북극항로를 둘러싼 국제정세 변화를 분석했다.

그는 러시아, 미국, 중국 등 북극항로 개발에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는 나라들의 주요 정책들을 소개하면서 한국의 단기적인 투자 형태를 꼬집었다.

홍 전 원장에 따르면 한국은 그동안 5차례 정도 북극항로 운항에 참여했을 뿐 이렇다 할 투자에 나서지 않았으며, 최근에야 해수부 예산을 8.1% 늘여 내년도 북극항로 예산 5천499억원을 책정하는 등 후발주자로서의 도전을 막 시작했다.

그는 "포스텍 등 첨단 R&D 인프라와 역량이 결집해 있는 포항에 북극해운정보센터를 설립하고 자체 인공위성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부산항뿐 아니라 영일만항 등 복수의 항만을 북극항로 거점 항만으로 지정 육성하고 러시아 등 주변국들과 다양한 협력체를 연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학소 청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물류무역연구소장의 '한국의 북극해 및 북극항로 진출 전략과 정책방향' ▷정영두 한국해양진흥공사 북극항로종합지원센터장의 '북극항로 산업화 전략' 등 주제발표를 통해 북극항로의 중요성과 한국의 투자 방향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진행됐다.

마지막으로는 정성엽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책임연구원과 이대식 유라시아21 회장, 김은우 KMI항만산업연구실장, 이성규 에너지국제협력센터 해외에너지동향분석실 선임연구원, 최상민 포스텍(POSTECH) 책임연구원 등의 패널토론이 이어지며 북극항로 개발에 있어 포항 기반 기술 상업화 및 인력 양성 전략 등 다양한 분야의 구체적 실행 전략이 논의됐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는 북극해 환경에 대응하는 쇄빙선, 친환경 연료 운반선(LNG·암모니아), 친환경 추진선 등 특수선박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북극항로는 수소·암모니아 등 미래 에너지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통로가 될 전망으로, 에너지 안보 확보와 새로운 무역 질서 형성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세계적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의 새로운 성장 기회이기도 하다.

아울러 선박 정비·연료공급(벙커링) 등 핵심 기능을 제공할 '중간 기착지' 확보가 중요해지며, 이를 통해 영일만항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영일만항은 철강·2차전지·에너지 산업단지와 항만이 직결돼 생산-가공-물류가 한 곳에서 이뤄지는 산업기반형 항만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고, 북미·유럽을 연결하는 북극항로의 물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최적 조건을 갖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또한 포항의 산·학·연 기반인 포스텍–RIST–포스코는 극지 선박 소재, 친환경 에너지 기술에서 강력한 연구 역량을 보유해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기술 실증 전초기지로 만드는 데 유리하다고 평가했다.

김정재 의원이 대표 발의한 '북극항로 개척 및 거점항만 지정·육성 특별법'은 북극항로 시대를 국가 전략으로 끌어올리는 제도적 장치로 소개됐다.

특별법의 주요 내용은 ▷국가 컨트롤타워인 북극항로위원회 설치 ▷해빙 예측·운항 정보 제공 및 민간 기업 지원을 위한 북극해운정보센터 설립 ▷영일만항 등 전략항만 육성을 위한 국가 지원 체계 확립 등을 담고 있다.

포럼을 주최한 김정재 의원은 개회사에서 "북극항로가 기존 수에즈운하 대비 운항 거리를 약 40% 단축하고, 그 결과 운송 시간은 10일 이상, 물류비는 최대 25% 절감된다"면서 "기후변화로 인해 가능성에 머물렀던 북극항로가 현실로 다가왔다. 대한민국이 이 변화의 전면에 서기 위해 조선·항만·에너지·AI 물류로 이어지는 총체적 혁신 전략을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