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중국교수교이후 중국 고위인사들의 방한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민자당 김한규의원의 초청으로 중국 전인대교육, 과학, 문화, 위생위원회의 조동완위원장이 7일 우리나라에 처음 들렀다.조위원장은 병원학술위원회 주예위원장과 중의연구원 전세원원장을 대동하고방한해 8일 오전 63빌딩코스모스홀에서 {중국 의료제도의 현황과 발전과정}이란 주제로 특별강연회를 개최, 중국의료상황을 국내에 소개했다. 7일 방한직후 그와 잠시 만났다.
-중국의료체계와 현실을 소개하는 일정도 있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약사와한약사간에 영역을 둘러싸고 상당한 진통이 있는데 중국은 어떤 협조체제를이루고 있는가.
*우리는 한방과 양약이 서로 유기적인 협진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치료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조제과정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방의 경우수천년동안 계승발전시켜온 민족적 유산이다.
-중국의 의료수준은 어느정도인가.
*중국은 모든 국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의 의료수준은 건국(49년 중국혁명)이후 획기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중국의 현재 평균수명은 여자가 70세이고 남자는 이에 조금 못미친다.
-중국공산당과 한국의 집권여당인 민자당과의 직접적인 교류얘기가 무성한데전망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말할수 없다. 그러나 양국국교수립이후 양당관계가상당히 발전되어 왔다. 앞으로도 이같은 방향으로 계속 나아갈 것이다.-한국도 지금 개혁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있다. 중국에서의 평가는.*한국의 개혁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공산당기관지인 인민일보에서도 특집기사를 다룬적이 있다. 대통령이 칼국수를 먹는등 지도층이 솔선수범하는 것은 본받을 만하다.
-중국도 지금 변화의 물결이 휩쓸고 있다. 자본주의화 되어가는등 실용노선이자리를 잡아가는것 같은데 중국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가.*앞으로도 정치체제는 불변이다. 지금의 정책은 등소평의 개혁개방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체제를 토대로 경제발전에 국가의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 이와함께 각나라와의 평화적인 우호관계를 도모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