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호강 반드시 살리겠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박예흔환경처장관은 '죽어있는' 금호강을 반드시 살려놓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다른 사업을 조정하더라도' '96년까지 환경기초시설만큼은 갖추도록' '다른 분야의 희생이 있더라도 물문제만은'식의 표현을 섞어쓰며 금호강회생에강한 의욕을 보였다. 26일 대구지방환경청을 초도순시한 자리에서였다.박장관을 잠깐 만났다.-금호강이 낙동강오염의 주범이라는 영남지역의 불만에 대해.*금호강의 오염은 전국민적 관심사인만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 현재 2개가동.2개확장중인 하수종말처리장 이외 상류지역인 영천금호와 경산하양에2개의 하수처리시설을 추가해 97년이후는 하수오염이 없도록 하겠다. 물론 재원이 문제이나 그동안 직할시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을 않은 관례를 깨고 1백소요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낙동강 수질오염사태이후 정부가 밝힌 수질보전정책의 추진은.*맑은물공급 5개년 계획에 따라 소요재원이 어느정도 확보된 상태다. 문제는정부의 의지다. 이번에는 확실히(수질개선을) 한다.

현재 국무총리가 매일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금명간 구체적인 정부대책이 나오면 환경처는 2개월마다 한번씩 사업진도상황을 언론에 발표할 계획이다.

-수질관리의 일원화문제는 어떻게 생각하나.

*정부는 수량은 건설부, 수질은 환경처가 맡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환경처가수량까지 관장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으나 현행정조직이나 노하우를 고려할때업무를 구분하는게 현실적이라 본다. 부처간 이기주의로 비춰지는 것은 유감이다.

-환경지도단속권을 환경청으로 재이관 작업의 진척은 계속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상당할 정도로 정부는 그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지난92년7월 환경처에서시.도로 환경단속권이 넘어간후 적잖은 업무차질이 있는듯 하다. 선진지방자치이론상 지자체가 이를 맡는게 바람직하나 현실은 이론을 따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환경청 원상복귀를 심도있게 추진중이다. 단, 전부 또는 대형배출업체만 환경청이 맡든가 소형은 자치단체가 담당하는식의 업무분장문제는 검토대상으로 남겨놓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