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우리나라를 제치고 우리의 전통식품인 김치종주국의 지위를 확보하기위해 근년들어 세계식량농업기구(FAO)및 세계보건기구(WHO)의 산하기구인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일명 CODEX위원회)를 상대로 로비를 벌이고 있어 이에 대한대책이 요망되고 있다.일본이 특히 김치의 국제식품규격을 책정, 이를 CODEX위원회에 보고해 승인받을 경우, 국제식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김치의 종주국위치를 일본에 빼앗기게 돼 우리의 김치수출에 막대한 타격을 주게될 것으로 우려된다.지난 24-27일까지 북경에서 열렸던 제9차 CODEX위원회 아시아지역 국가조정회의에 우리나라 대표로 참석했던 식품전문가인 김일환박사(55.서도화학대표)는 30일 "일본측이 지난 86년부터 CODEX위원회 본부위원들을 상대로 김치의국제식품규격등록 로비를 꾸준히 펼치고 있어 우리가 먼저 서둘러 규격등록을 하지 않으면 내년쯤에는 김치종주국의 위치를 일본에 내줘야 할 판"이라면서 이에 대한 정부의 조속한 대책을 촉구했다.
김박사는 "이번 회의에서도 일본은 의제에도 없던 생수의 아시아지역 규격을정할 것을 전격 제의, 우리나라를 포함해 무한한 잠재적 구매력을 가진 아시아생수시장을 장악하려는 의도를 드러냈으며 말레이시아.태국등도 마른멸치의국제식품규격을 정할 것을 제안해 내년중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각국의 이같은 일련의 활발한 움직임은 앞으로 우리식품의 수출입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아직까지 우루과이라운드(UR)합의나 곧 출범할 세계무역기구(WTO)가 국제식품규격을 자유무역조건에포함시키지 않고 있으나 가까운 장래에 국제식품규격이 보이지않는 수출장벽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국내 식품업계에서도 우리나라의경우, CODEX국가위원회가 설치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식품관련 담당부처가보사부(위생).농림수산부(농수산물).상공자원부(통상).환경처(환경)등 관계분야별로 나눠져 있어 식품정책에 혼선을 빚고 있음을 지적, 선진국들처럼 농림수산부가 식품정책을 전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