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經總,전환기 고용정책 방향전망

"인력난 갈수록 심화"

국내의 인력난은 매년 심화돼 오는 2010년에는 인력부족 규모가 지난 94년보다 14배 이상 늘어날것으로 추정됐다.

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내놓은 전환기의 고용정책 방향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력 공급규모는94년 2천32만6천명에서 2000년 2천2백82만2천명, 2005년 2천4백67만9천명, 2010년 2천6백4만6천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노동력 수요는 94년 2천43만2천명에서 2000년 2천3백13만명, 2005년 2천5백63만1천명, 2010년 2천7백64만3천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인력부족 규모는 94년 10만6천명에서 2000년 30만8천명, 2005년 95만2천명에 이르고2010년에는 94년보다 14배 이상 많은 1백59만7천명에 달할 것으로 經總은 예상했다.경총은 이같은 인력난 심화의 원인으로 △취업 非희망인구 증가 △근로자들의 고임금 △관습이나편견에 따른 여성 및 노령인력의 취업기피 현상 △인력수요 증가율보다 낮은 인구증가율 등을 꼽았다.

경총은 또 산업구조의 서비스화, 소프트화, 정보화의 진행으로 산업별 취업구조도 바뀌어 전체 취업인구중 서비스업 종사자의 비율이 90년 54.5%%에서 2000년 66.0%%, 2010년 72.7%%로 크게 증가할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제조업 취업자비율은 90년 27.7%%에서 2000년 25.7%%, 2010년 24.1%%로 감소하게 돼 2010년의 한국 산업별 취업구조는 90년대 초의 선진국과 비슷한 형태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