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보건소와 결핵협회, 학교보건원 등의 방사선 진단기기의 절반가량이 사전검사를 받지 않은것이며 흉부 X선 간접촬영장치 10대중 8대가량이 선진국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낡은 장비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가슴에 대한 X선 촬영할 때 방사선으로부터 생식기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골반방어용앞치마를 보유한 곳은 26.8%%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립보건원이 지난해 전국의 보건소 2백43개, 대한결핵협회 부설 의원13개, 학교보건원 1개 등 2백57개 기관을 대상으로 의료용 방사선기기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이같이 나타났다.
조사결과 이들 기관에 설치된 4백44대의 진단용 방사선 촬영장치중 사용한지 10년 이상된 노후장치가 16.7%%를 차지했다.
또 사전검사가 의무화된 80년 7월1일 이후 설치된 4백29대중 사전검사를 받지않은 장치가 48.2%인 2백7대에 달했다.
흉부 X선 간접촬영장치의 경우 2백80대 가운데 23%가 10년 이상 사용된 것이었으며 더욱이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하지 않는 70㎜필름을 사용하는 장치가 77.9%%로 1백㎜필름 사용 장치는 62대 22.1%%에 불과했다.
또 흉부X선 간접촬영장치중 형광지를 교환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27.9%인 78대에 지나지 않았는데 형광지는 최소한 2년마다 한번씩 교환해주지 않으면 화상 선명도가 떨어져 촬영시 방사선량을 2배로 늘려주어야 한다.
한편 국립보건원은 의료기관에서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설치.이용이 급증하고 있어 지나친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암발생 및 유전적 영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조사대상 의료기관을 연차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