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浦項] 1.5㎏짜리 배추 한포기 2천원, 2㎏짜리 무 한개는 1천7백원, 중간크기 수박1개는 1만5천원, 삼겹살 1㎏은 9천원….
본격적인 휴가철로 접어들면서 농수축산물과 신발 의류등 일부 공산품의 주도속에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특히 이같은 추세는 7~8월 두달동안 숙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예년에 비해20일 가량 앞당겨진 추석물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포항지역의 경우 최근들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등 육류는 계절적 特需로 소비량이 늘면서 소비자 가격이 20~30%%가량 오른것을 비롯, 배추 무등 일부 농산품은 장마철 생산량 감소가 겹쳐 1백%% 가까이 인상됐다. 이에따라 전체적인 장바구니 물가가 지난 6월초에 비해 30%%이상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영복을 비롯한 의류와 신발류등 공산품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수산물은 양식실적 부진과 냉수대 영향등으로 어획량이 격감, 부르는게 값 일정도로 가격인상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따라 올상반기 포항지역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정부의 연중 물가억제선4.5%%를 이미 넘어선 4.8%%로 나타났으며 하반기 들어서는 수직상승세를 보이는등 물가인상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올들어 7월말 현재까지 포항지역 물가인상률은 20%%를 넘어 전국 최고수준인데도 자치단체를 비롯한 당국의 물가정책은 실종상태라는게 시민들의 지적이다.
한편 한국은행 포항지점은 올해 포항지역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정부의 억제선4.5%%를 훨씬 웃도는 5%%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