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한국문학의 세계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심포지엄이 20, 21일 이틀동안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다.
세계문학속의 한국문학 을 주제로 문학의 해 조직위원회와 국제펜클럽 한국본부가 주최, 주관하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내문학인을 비롯 미국 프랑스 영국 러시아 일본등 해외 저명문학인등이대거 참석,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대해 논의한다.
20일 오전 개회식과 함께 문학평론가 이어령씨가 세계속의 한국문학 을 대주제로 발제에 나선다. 이어 제1주제인 문학의 가치 에 대해 마조리 페르로프(미스탠포드대 석좌교수),국제펜클럽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프랑스작가 알렉상드르 브록이 각각 주제발표를 하게 되며 고려대 김우창교수와 포항공대 박이문교수, 작가 이문열씨가 토론자로 참여한다. 제2주제인 문학과 환경 에 관한 발제는 소설가 박경리씨와 가미가이토 겐이치(일본 국제문화연구소 교수)가 맡았고 제3주제한국문학의 특수성 에 대해 재미한인문학자인 피터 리 교수(미캘리포니아주립대)와 국내에서 번역활동을 하고 있는 D.A 키스터(서강대교수)가 각각 주제발표한다.
둘쨋날인 21일에는 데이비드 맥캔교수(미코넬대)과 브라더 앤서니교수(서강대)가 제4주제 한국문학번역의 현실 에 대해 짚어보고 이어 제5주제 한국문학의 세계화 에 대해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교수(미콜럼비아대)와 미국번역가인 브루스 풀튼이 발제한다. 오후에는 작가와 인권 을 주제로한 러시아작가 안드레이 비토프(러시아펜클럽회장)의 발제에 대해 작가 이호철씨와 국민대 이정기 교수, 서울대 김희숙교수의 토론으로 진행된다. 이어 발제자 전원과 국내 문인, 평론가들이 참석하는 종합토론으로 이번 심포지엄을 결산한다.
문학의 해 조직위원회 서기원위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에 대해 산업사회의 급속한 진행으로 점차퇴색되어가는 문학의 가치를 되새겨보고 우리 문학의 세계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준비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